사회 사회일반

'맞춤형 보육' 반발 어린이집 집단 휴원 예고

정부가 어린이집 맞춤형보육 정책을 7월부터 시행하기로 하면서, 민간 어린이집 연합회가 오는 23일부터 24일까지 이틀간 집단휴원을 예고했다./ 출처=YTN 뉴 스화면 캡처정부가 어린이집 맞춤형보육 정책을 7월부터 시행하기로 하면서, 민간 어린이집 연합회가 오는 23일부터 24일까지 이틀간 집단휴원을 예고했다./ 출처=YTN 뉴 스화면 캡처


전국 어린이집들이 맞춤형 보육 제도에 대한 반발로 주중 집단 휴원 강행을 예고했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지난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어린이집의 경영상 문제는 최대한 개선되도록 협의를 계속하고 어린이집 맞춤형 보육 시행도 예정대로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맞춤형 보육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자 제도를 일부 보완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맞춤반(6시간) 보육료 지원액을 원래 계획했던 종일반(12시간) 보육료의 86% 수준에서 96% 수준으로 높이기로 한 것. 또 종일반 이용이 가능한 다자녀 기준을 종래 3자녀에서 쌍둥이, 연년생에 한해 2자녀도 일부 허용해 완화하는 방침을 마련했다.


그러나 최대 규모의 민간 어린이집 운영자 단체인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가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예정대로 제도 시행이 가능할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들은 맞춤형 보육 시행 계획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오는 23~24일 1차 집단 휴원을 하고, 제도를 강행하면 다음 달 4일부터 사흘간 2차 휴원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 역시 인건비 지원 확대 등을 요구하며 집단 휴원을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지난해 말 현재 민간 어린이집 비중은 전체시설의 34.4%, 보육 아동의 51.5%에 달하고 가정 어린이집까지 합하면 전체 시설의 86.3%, 보육 아동의 75.2%를 차지해, 이들이 휴원을 강행할 경우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들 단체를 분과로 두고 있는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가 집단행동에 미온적이어서 어린이집이 휴원에 얼마나 동참할지는 미지수인 것으로 전해졌다.

어린이집이 휴원할 경우 학부모들은 당장 아이들을 맡길 곳이 없어 속 앓이를 하고 있다.

한편 야권도 어린이집 등 당사자와의 협의를 시행 선결 조건으로 내세우며 맞춤형 보육 연기를 거듭 구하고 있어 ‘맞춤형 보육 제도’ 시행에 대한 갈등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주현정인턴기자 hyunjeong1014@sedaily.com

주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