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리베이트 의혹에 지지율 곤두박질, 국민의당, 박선숙.김수민 당원권 정지 검토

국민의당, 리베이트 정국 벗어나기 사활…선명성 강조

더민주도 꺼리는 국회법 개정안 재의 요구하며 선명성 강조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의혹에 휩싸여 지지율이 곤두박질 치고 있는 국민의당의 안철수 대표가 또 사과하고 나섰다. 안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찰 수사에 만에 하나라도 우리당의 문제가 있을 시에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당헌·당규에 따라 단호하게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거듭 밝혔다. 공식 석상에서 유감을 밝혔던 지난 10일에 이어 두 번째다. 1차 사과에도 리베이트 의혹 여파가 가라앉지 않자 안 대표가 전면에 다시 나선 것이다. 국민의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검찰 기소와 동시에 당원권이 정지된다.


안 대표의 ‘단호 조치’는 일단 당원권 정지를 염두 한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당원권 정지는 ‘제명’ 바로 아래의 조치로 당원권 정지 시 맡고 있던 당직을 모두 내려놓아야 한다. 하지만 박 의원과 김 의원은 당직을 맡고 있는 것이 없다. 당원권 정지로도 악화 된 여론이 회복되지 않는다면 박선숙 의원과 김수민 의원에 대한 제명도 검토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 의원과 김 의원은 모두 비례대표 의원으로 당이 제명하면 비례대표는 유지할 수 있다. 비례대표는 스스로 탈당을 해야만 의원직을 잃게 된다.

관련기사



안 대표는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개정안의 재의를 정세균 국회의장에 요구하는 등 야당과 공조를 통해 리베이트 의혹의 중심에서 한발 비켜 나려는 시도에도 나서고 있다. 안 대표는 “청와대가 얼토당토않은 이유로 (국회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다”며 “19대 국회는 20대부터 일하는 국회를 만들라고 국회법 개정이라는 씨앗을 남겼다. 이 개정안에는 청문회 활성화만 담긴 게 아니었다. 이 국회법 개정안을 일하는 국회법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박승춘 보훈처장의 해임건의와 어버인연합 청문회 요구, 검찰의 ‘제식구 감싸기’ 를 비판하는 등 당 내 비리 의혹에 가려져 실종되다시피 한 민생 정책 드라이브를 다시 걸면서 지지율 반등을 노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앞서 국민의당은 지난 19일 여야 3당으로서는 처음으로 자체 미세먼지 대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