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불붙는 개헌론 7공화국 서막인가]"치열한 지역·이념 대결 정당 문화...내각제 순탄하게 운영될지 의문"

전문가들이 본 한국정치 토양

예측가능성 중요한 경제정책은

분권형 권력제도와 안 맞을수도

내각제적 요소가 크게 반영되는 쪽으로 개헌이 이뤄질 경우 부작용은 없을까. 한국의 정치 토양이 내각제적 요소를 충분히 소화할 만큼 성숙하지 못했다는 의견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온다.

내각제하에서는 과반 의석의 다수당이 나오지 않을 경우 두 개 이상의 정당이 연립해 연립정부(연정)를 구성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려면 정당 간의 토론과 합의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지역과 이념으로 나뉘어 치열하게 싸우던 정당들이 토론과 합의를 바탕으로 순탄히 연립정권을 구성할 수 있을지부터가 의문이라는 것이다.


연정을 구성하는 데 성공하더라도 국정운영에서 나오는 불협화음을 어떻게 할지가 걱정이다. 예를 들어 A당이 B부처 장관을, C당이 D부처 장관을 맡았을 때 B부처와 D부처의 업무 및 예산 조정이 잘 되겠냐는 걱정도 나온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분권화로 가게 되면 정책 집행의 효율성을 담보하기 힘들 것”이라면서 “한국에는 정책에 의한 정당이 없다. 정당이 정치적 이해에 따라 이합집산한 것을 감안할 때 내각제로 가면 혼란이 더 커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특히 경제정책에 있어서는 분권화가 방해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제 주체에게는 예측 가능성이 가장 중요한데 다당제와 분권화는 경제정책의 일관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것이다. ‘힘’을 가진 집권세력이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일관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경제 주체에게는 훨씬 유리한 게 사실이다.

관련기사



강성진 교수는 “대다수 경제학자는 분권화된 시스템보다는 대통령 중임제를 선호한다”면서 “국회의 합의 문화가 구축돼 있지 않고 경제정책도 정부 주도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한국 사회가 다당제 정치환경을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 정치적으로 성숙했느냐도 문제다.

내각제하에서는 군소정당도 연정을 통해 국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고 따라서 다양한 이념·정책적 지향점을 지닌 정당이 출현하게 될 게 분명하다. 그러나 양당제나 지역당에 익숙한 한국 유권자들은 군소정당의 정부 참여를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