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서울경제TV] 영남권 신공항 또 백지화… "김해공항 확장"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 김해공항 확장

밀양·가덕도 모두 탈락… 신공항 건설 백지화

정치적 논란등 우려한듯… ‘복지부동’ 비판 나와

김해공항 활주로·터미널등 신설… 교통망도 개선

공합 접근성 개선 위해 도로·철도등 확충 예정







[앵커]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또다시 무산됐습니다. 지난 2011년 이명박 정부때 무산된 후 5년만인데요. 대신 김해공항의 활주로, 터미널 등 공항시설을 대폭 신설하는 등 김해공항을 확장하기로 했습니다. 정창신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전면 백지화되고, 그 대안으로 김해공항이 확장됩니다.

국토교통부는 오늘 오후 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의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날 발표는 국토부가 부지선정 용역을 준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이 직접 나섰습니다.


[녹취] 장 마리 슈발리에 / ADPi 수석엔지니어

관련기사



“최종 3곳을 대상으로 해서 소음정도, 비용, 접근성을 기준으로 검증단계를 거쳐 가장 최적의 지역을 선정하고자 했습니다.”

국토부 발표대로 이번 신공항 백지화 결정은 전문용역 결과 밀양과 가덕도가 새 공항으로 적합치 않다는 결론에 따른 조치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역대결 격화등 정치적 논란이 커지자 후유증을 두려워한 박근혜 정부가 아예 밀양과 가덕도 어느 곳도 손을 들어주지 않는 ‘복지부동’ 행정을 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해공항을 확장하기로 함에 따라 활주로와 터미널 등 공항시설을 대폭 신설하고, 공항의 접근 교통망도 개선될 예정입니다.

국토부는 올해 안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고, 내년 중 공항개발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하는 등 김해공항 확장을 위한 후속절차를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아울러 영남권 주민들의 공항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도로, 철도 등 연결교통망을 확충하고 안정적 예산 확보를 위해 관계부처와 협력해 나갈 계획입니다.

영남권 신공항은 그동안 부지선정 과정에서 유치를 희망하는 지역간 갈등이 정치권으로까지 확산되는 등 논란을 빚어왔습니다. /서울경제TV 정창신입니다.

[영상취재 장태훈 / 영상편집 김지현]

정창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