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기업 혁신속도' 中 시속 100㎞…韓 고작 70㎞

[商議 '우리기업 현주소' 조사]

조선·철강·기계 변화속도 느려

자금 등 정책지원 뒷받침 필요

중국 기업이 시속 100㎞로 변할 때 한국 기업의 변화 속도는 70㎞에 그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구글 같은 혁신기업에 비해서는 변화 속도가 59㎞에 불과하다는 자체 진단이다. 한국 제조업의 혁신 속도가 그만큼 느려졌다는 얘기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업체 300여개사를 대상으로 ‘우리 기업 혁신의 현주소와 향후 과제’를 조사해 22일 발표한 결과를 보면 ‘최고 혁신기업이 시속 100㎞로 변한다고 할 때 당신 회사는 어느 정도인가’라는 질문에 평균 시속 58.9㎞라는 응답이 나왔다.


업종별로는 자동차(시속 65.5㎞)와 전자(시속 63.8㎞) 등 ‘전차(電車)’ 업종은 그나마 혁신 속도가 빠른 편이었지만 조선(시속 57.7㎞), 철강(시속 54.8㎞), 기계(시속 52.7㎞) 등 ‘중후장대(重厚長大)’ 업종은 혁신 속도에서 다소 뒤처졌다.

관련기사



대한상의는 “과거 한국은 ‘빨리빨리’ 문화를 통해 세계가 놀랄 만한 고속성장을 일궈냈지만 ‘속도의 경제(economy of speed)’ 시대인 지금 우리 기업의 혁신 속도는 중국에도 뒤지는 것이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중국이 한국보다 혁신 속도가 빠른가’라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84.7%가 ‘그렇다’고 답했고 ‘중국이 시속 100㎞로 변할 때 한국의 속도’를 묻자 평균 시속 70.9㎞라는 답이 나왔다.

혁신을 위한 사회적 분담 비율은 기업과 정부와 학계와 국회가 ‘6대2대1대1’의 비율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그만큼 기업의 혁신 노력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기업의 혁신 노력과 함께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부의 효과적인 혁신정책으로는 자금지원(44.3%), 미래 신산업 성장 기반 구축(43.3%), 실패 기업인의 재도전 지원(27.7%) 등이 꼽혔다. 신현한 연세대 교수(대한상의 자문위원)는 “우리 기업 혁신의 가장 큰 로드블록(걸림돌)은 정해진 것만 할 수 있는 포지티브 규제 시스템과 구시대적 기업문화”라고 지적했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