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숭례문 파수의식 부활, 8년만에 재개한 '파수란?'

2008년 숭례문 화재로 중단됐던 숭례문 파수(把守) 의식 재현행사가 8년 만에 재개돼 눈길을 끈다.

서울시는 오늘(23일) 서울 숭례문 광장에서 숭례문 파수 의식과 순라·교대의식 재현행사를 했다고 발표했다.


파수란 도성의 성곽을 수비하는 것으로, 조선의 도성 수비는 선조 때 임진왜란과 인조 때 병자호란을 겪으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 바 있다.

파수 의식은 인정(매일 밤 10시께 28번 종을 쳐 성문을 닫고 통행금지를 알리는 것)과 파루(매일 새벽 4시에 33번 종을 쳐 통행금지를 해제하는 것) 때 도성문을 여닫는 개폐의식, 순라(도둑·화재 따위 예방을 위해 밤에 궁중과 도성 둘레를 순시) 의식 등을 연결한 군례의식으로 알려져있다.


오늘 행사에서는 파수군(호군 1명·보병 3명)이 조선시대 한양 도성을 둘러싸고 있던 성곽의 정문인 숭례문에서 경계 근무를 서면서 성문 내외의 치안을 살피고 교대하는 의식을 공개했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덕수궁 대한문에서 근무하는 수문군(39명)이 숭례문으로 이동해 교대하는 의식도 열렸다. 이번 행사에는 역사적 고증을 토대로 복원한 복식과 장비, 깃발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숭례문 파수 의식은 숭례문 휴무일인 월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열리며 관람료는 무료.

자세한 내용은 서울 왕궁수문장 홈페이지(http://www.royalguard.or.kr)에 접속하거나 관리사무소(전화 02-737-6444)로 문의하면 확인할 수 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