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브렉시트 쇼크]허찔린 정부 허둥지둥 긴급대응

6시간만에 2차 긴급회의 열고

외환·금융시장 총력태세 돌입

금융위·금감원도 합동팀 꾸려

“내기를 할까요. 저는 잔류에 걸겠습니다.”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 투표가 있기 며칠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경제부처 관료들은 이처럼 영국의 유럽연합(EU) 잔류에 무게를 실었다. 스코틀랜드 독립 투표 등을 볼 때 영국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이날 기획재정부가 오전8시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개최한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도 이 같은 분위기가 흘렀다. 실시간으로 개표되던 영국의 투표 상황이 ‘탈퇴(LEAVE)’와 ‘잔류(REMAIN)’에서 1~2%포인트 차로 엎치락뒤치락할 때도 잔류에 내심 기대를 걸었다. 기재부는 오전 회의 이후 “우리나라와 같이 대(對)영국 무역·금융 익스포저(노출)가 크지 않을 경우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고 직접적인 영향도 제한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오를 넘어가며 영국의 선택이 ‘탈퇴’에 근접한 것으로 알려지자 정부 관계자들의 안색이 변했다. 한 경제부처 공무원은 “예상치 못한 결과다. 경제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아야 할 때”라고 한숨을 쉬었다. 정부는 단 6시간 만에 2차 긴급회의를 열고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외환·금융시장의 안정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총력대응태세에 돌입했다.

관련기사



금융과 실물경제 부처들 역시 브렉시트에 따른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잇따라 긴급 대응에 나섰다. 금융위원회는 국내외 금융시장에 대한 24시간 점검체계를 가동하고 사무처장을 중심으로 한 금융위·금융감독원 합동 ‘비상금융상황대응팀’을 꾸렸다. 비상금융상황대응팀은 주말 미국 증시 등의 상황을 예의주시한 뒤 26일 비상점검회의를 열고 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회사채 시장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긴급 실물경제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EU 수출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산업부 관계자는 “영국과 EU 전 회원국 공관과 KOTRA 무역관을 통해 현지 동향과 진출 기업 관련 보고체계를 가동해 대응하겠다”고 전했다. /세종=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