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글로벌마켓 인사이드]안갯속 글로벌경제...비트코인 '가치저장 수단' 떠오른다

2년여 만에 개당 700弗 넘어...연초대비 71% 폭등

금값과 유사한 흐름..."투기 아닌 리스크 헤지 수요"

美 규제당국선 "안전자산 취급 일러" 첫 우려 표명



중국의 성장률 둔화와 유럽연합(EU)의 분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등으로 글로벌 경제에 불확실성이 드리우면서 가치 저장을 위해 비트코인을 선택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2년 내 최고점을 찍은 가운데 미 금융당국은 전자 화폐의 확산이 금융 불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며 투자자들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최근 블룸버그의 가상통화모니터에 따르면 비트코인 한 개 가격은 지난 16일(현지시간) 현재 744.43달러까지 치솟아 지난 2014년 2월 이래 처음으로 700달러를 돌파했다. 연초의 개당 434.34달러에 비하면 71.39%나 폭등한 것이다.


비록 변동성은 크지만 이러한 흐름은 금 가격 추이와 일치한다. 금값은 16일 온스당 1,302.24달러가지 치솟아 연초대비 22.72% 올랐다. 그 후 비트코인과 금 현물 가격은 이날 조 콕스 영국 하원의원이 피살되고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우려가 한풀 꺾인 뒤에는 나란히 하락세로 돌아섰다. 또 국민투표 결과가 영국의 EU 탈퇴로 나와 국제 금융시장이 패닉에 빠진 24일에는 다시 가격이 치솟았다.

블룸버그통신은 비트코인으로 가치를 저장하려는 투자자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비트코인이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과 비슷한 가격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의 크리스토퍼 래그너와 팀 컬팬 경제 칼럼니스트는 이러한 거래가격 변화는 비트코인의 가치 상승이 단순한 투기 수요가 아니라 금과 유사한 리스크 헤지 수요였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아직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가 실물화폐를 보완하는 ‘안전자산’으로 취급하기는 이르다며 투자에 유의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미 재무부와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증권거래위원회(SEC) 등 주요 규제기관으로 구성된 미 금융안정성감독위원회(FSCO)는 지난 21일 발간한 미 금융시스템의 위협에 관한 연례 보고서에서 가상 화폐 리스크에 대한 우려를 처음으로 직접 표명했다.

관련기사



FSOC는 비트코인에 사용되는 블록체인 등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시스템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다며 “시장 참여자와 규제 당국이 감독해야 할 리스크와 불확실성이 있다”고 말했다.

블록체인은 기존 증권, 화폐처럼 거래기록의 관리나 권한을 독점하는 기관 없이, 시장 참여자들이 거래 기록을 개인의 컴퓨터에 나눠 관리하는 기술이다. 모든 거래 정보가 공개돼 있고 개인들에 분산돼있는 만큼 해킹이 어렵지만, 최근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거래 지연과 거래 실패가 발생하며 기술적 약점을 드러내기도 했다. 게다가 비트코인 시스템이 단일한 개인이나 기관의 사기는 막을 수 있지만, 여러 명이 공모한 금융사기에는 취약하다는 점도 불안 요인이다.

FSOC는 “분산원장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이 규제관할권과 국경을 넘어 퍼져 있다”며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확인하고 다루기 위해서는 규제 당국 간 상당한 수준의 공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래그너와 컬팬 칼럼니스트도 “비트코인이 불확실성을 헤지하기 위한 하나의 옵션으로 쓰이고 있다는 가설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세계적인 공포가 몇 번 더 벌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