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브렉시트 후폭풍] 韓英 금융협력도 삐걱

내달 예정 정기포럼 개최 불투명

英시장 영업 확대 노린 국내 금융사도 비상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Brexit) 여파로 우리나라와 영국 금융당국 간의 협력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다음 달 22일 영국 런던에서 열기로 했던 한·영 금융협력포럼의 개최가 불투명해졌다.

26일 금융당국과 금융업계에 따르면 한·영 금융협력포럼은 사실상 개최가 어려운 상황이다. 금융업계 고위 관계자는 “브렉시트 투표가 가결되면서 영국 금융당국도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다”며 “아직 우리 금융당국으로 공식적인 입장을 전달해 오지 않은 것으로 알지만 올해 한·영 금융협력포럼 개최는 사실상 어렵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한국과 영국은 지난 2014년 4월 영국 런던에서 첫 한·영 금융협력포럼을 개최한 후 매년 양국을 오가며 번갈아 포럼을 열고 있다. 2013년 11월, 박근혜 대통령이 영국을 방문했을 당시 양국은 △한영 민관합동 금융협력채널 운영 △금융당국 및 금융기관 간 양해각서(MOU) 체결 △창조금융 및 벤처투자 활성화 △제3국 공동진출 노력에 합의했고 한·영 금융협력포럼은 이 같은 협력 방안의 후속조치를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5월 서울에서 열린 제2회 한·영 금융협력포럼에는 앤드루 베일리 당시 영국 은행감독청(PRA) 청장이 한국을 찾았다. 제3회 포럼은 오는 7월22일 영국 런던에서 열기로 했고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해외 출장에 나설 계획이었다.

관련기사



영국 금융시장에서 영업을 확대할 계획을 세워놓은 국내 금융회사들에도 비상이 걸렸다. 한·영 금융당국은 이번 포럼에서 양국에 진출한 금융회사에 대한 감독 정보를 교류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맺을 계획이었다. 이는 영국에 현지법인 형태로 진출해 있는 국내 금융회사의 지점 전환을 염두에 둔 것이다. 영국 금융당국은 직접적으로 통제할 수 없다는 이유로 현지법인의 지점 전환을 거부했지만 양국 간 감독 정보를 교류하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현지 법인과 달리 지점은 국내 본사의 자본금과 신용등급을 적용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출과 투자 규모를 대폭 확대할 수 있고 현지에서의 자금조달 여력도 커진다. 이 같은 이유로 KB국민은행은 이번 한·영포럼을 계기로 하반기 영국 현지법인의 지점 전환 인가를 영국 금융당국에 신청하고 내년 상반기 중 지점으로 전환할 계획이었다.

한편 한·영 금융협력포럼 개최가 불발되면 포럼과 연계해 런던에서 열기로 했던 ‘핀테크 데모데이’도 개최가 어려울 전망이다. 이에 따라 영국의 핀테크 클러스트인 레벨39에 입주하기로 했던 국내 핀테크 업체들도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 졌다.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