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브렉시트發 위기' 탈출구 찾는 글로벌 시장

美·日 등 "후폭풍 조기 차단"

유동성 공급·부양책 등 논의

중앙은행 총재들도 공조 모색

케리 美국무, 런던 브뤼셀 방문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 결정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대혼돈에 빠져들면서 세계 각국 정부가 후폭풍을 조기 차단하기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미국·일본을 비롯한 각국 정부는 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한 대규모 유동성 공급과 경기 부양을 위한 논의에 돌입했으며 시장 불안 확산을 진화하기 위한 주요국들의 공조 움직임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브렉시트가 현실화한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유럽중앙은행(ECB)은 각각 성명을 통해 금융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금경색에 대비해 유동성을 추가 공급할 수 있다는 방침을 밝혔다. 미 재무부도 국제금융시장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서는 한편 국제통화기금(IMF)과 공동 대처방안을 논의했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올해 안에 금리 인상을 유보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엔화 가치 급등과 경기 후퇴 압력에 직면한 일본의 아베 신조 정부는 보다 공세적인 대응을 논의하고 있다. 아베 정부와 일본중앙은행(BOJ)은 25일 긴급 회동에서 엔고 현상이 지속될 경우 BOJ가 직접 엔화 매도 개입을 단행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정부는 이 밖에 올 하반기 10조엔 이상을 투입하는 경기부양책을 내놓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요미우리신문이 26일 전했다. 미국 정부는 영국 및 유럽연합과 브렉시트 이후 해법 모색에 나선다. 로마를 방문 중인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EU본부가 있는 브뤼셀과 런던을 찾아 군사적 문화적 협력 관계를 재확인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도 과감한 시장 안정화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브렉시트 관련 시장 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금융시장 불안에 대응해 단기적으로는 적기에 과감한 시장 안정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조만간 회사채 시장 활성화와 기업 자금조달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며 한국은행은 27일 오전 3차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열어 향후 리스크 요인과 그 영향 등을 점검한다. 일각에서는 한은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한편 주요국 간 위기대응 국제공조를 위한 논의도 활발해졌다. 24일 브렉시트 결정 이후 주요7개국(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가 공동 성명을 낸 데 이어 25일에는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국제결제은행(BIS) 세계경제회의에서 세계 30개국 중앙은행 총재들이 시장 모니터링과 상호 협력을 약속하는 공동 선언문을 발표했다. BIS 회의 이후 각국 중앙은행이 특정 이슈에 대한 공동 선언문을 발표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또 ECB는 27일부터 사흘간 포르투갈에서 개최하는 포럼에서 미국·영국 등의 중앙은행 총재들과 브렉시트 후속 대응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신경립·조민규기자 klsin@sedaily.com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