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공동주택 비흡연가구 73% 간접흡연에 피해

서울시 공동주택 비흡연 가구 중 73%가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입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출처=구글서울시 공동주택 비흡연 가구 중 73%가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입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출처=구글


서울시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비흡연 가구 중 73%가 간접흡연에 피해를 입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환경건강연구실은 지난해 8~9월 서울 시내 공동주택 거주 2,600가구를 대상으로 간접흡연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설문대상자 중 흡연자가 없는 가구는 1,241가구로 지난 1년간 간접흡연을 경험했다는 비율은 73.5%에 달했다.

간접흡연 피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때는 계절상 여름(52.5%), 하루 중 저녁시간(58.3%)인 것으로 나타났다.

봄·가을과 겨울에는 간접흡연 피해가 각각 27.2%, 20.4%로 여름의 절반 수준이었으며 하루 중 오후 29.5%, 오전 12.3%를 차지했다.


아파트(73.8%)와 다세대 주택(73.1%)사이에 간접흡연 경험 비율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10가구 중 1가구(9.5%)는 매일 간접흡연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또 옆집의 담배 연기가 침입한 경로로는 베란다·창문이 73.1%로 가장 많이 꼽혔고 화장실 14.3%, 현관문 11.4% 순이었다.

흡연자가 있는 가구의 흡연장소는 건물 밖 실외 58.5%, 베란다 21.2%, 화장실 8.2%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 중 비흡연자 중 89.9%, 흡연자 중 63.0%가 공동주택에서 금연정책 시행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대체적으로 실내 흡연 규제의 필요성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김규상 서울의료원 환경건강연구실장은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간접흡연 피해는 미국의 1.6배에 달하는 수준”이라며 “아직 주택 사이의 간접흡연 침입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실장은 “다양한 정보를 수집해 공동주택 내 흡연 제한 및 간접흡연 노출 위험성에 대한 홍보 및 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간접흡연은 직접흡연을 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각종 질병발생과 사망위험성이 증가한다. 흡연자의 배우자는 비흡연자의 배우자보다 폐암에 걸릴 확률이 약 30% 높고 심장병에 걸릴 위험성은 50%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승희 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