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인터넷 빠지고 학년 높을수록 비만 위험도 ↑

인터넷 이용 시간, 학년, 스트레스 정도와 성별도 비만 가능성에 영향끼쳐

일주일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비만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출처=이미지투데이일주일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비만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출처=이미지투데이


일주일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이 10시간 이상인 청소년이 인터넷을 3시간미만으로 이용하는 청소년보다 비만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혜선 교수(예방의학)팀은 2014년 질병관리본부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자료를 토대로 중·고등학생 6만9,659명의 남녀·학력·학년 등 청소년 비만요인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연구에서 국내 중·고생의 평균 BMI(체질량지수)는 20.7로 정상 체중이었다. 비만 척도인 BMI는 자신의 체중(㎏)을 키(m로 환산)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한다.

연구 결과 국내 중·고생의 주당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431분으로 15년 전인 1999년 52분에 비해 8배가량 증가했다. 9년 전인 2005년 132분과 비교해보면 3배 넘게 늘어났다.

정 교수는 “비만 중·고생 2명 중 1명은 인터넷 이용 시간이 주 420분 이상이었다”며 “주 인터넷 이용 시간이 600분 이상인 학생은 180분 미만인 학생에 비해 비만 위험이 1.4배 높았다”고 설명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비만 가능성도 높아졌다. 중학교 1학년에 비해 중학교 3학년은 비만 위험이 1.5배 높게 조사됐다. 입시 부담과 스트레스가 큰 고등학교 3학년은 비만 위험이 중학교 1학년의 2.4배에 달했다.

관련기사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비만 가능성이 2.9배 더 높았다.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신의 신체 변화에 민감하고 다이어트 등을 시도하는 횟수가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스트레스와 자살 생각 같은 심리적인 요인도 비만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학생의 비만 위험이 적게 받는 학생보다 1.9배 높아지는 특징을 보였다. 자살을 생각한 학생도 비만 위험이 1.1배였다.

중·고생의 비만 위험을 낮추는 해법은 고강도운동과 근력강화 운동이다. 고강도 운동과 근력강화 운동을 일주일에 3일 이상 하면 각각 비만 위험이 28%, 43% 낮아졌다.

정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1주일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은 431분으로 2005년 132분(청소년보호위원회 조사)보다 3배 이상 늘어났다”며 “청소년의 비만 예방을 위해 앞으로 인터넷 이용시간 제한 등 적절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학교보건학회지 4월호에 게재됐다.

/김인경인턴기자 izzykim@sedaily.com

김인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