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신규 임용 공무원, 고위공무원 진입에 평균 21년 걸려

인사혁신처 고위공무원 관련 통계 발표

현재 고위공무원 1,505명 중 절반 이상 5급 공채 출신

신규 임용 공무원의 고위공무원단 진입 평균 기간은 21년 6개월이며 현재 고위공무원단 1,505명의 절반 이상인 54.5%는 5급 공채 출신으로 나타났다.


인사혁신처는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하는 ‘고위공무원단 출범 10주년 국제 콘퍼펀스’를 알리면서 이 같은 내용을 28일 공개했다. 1~3급 공무원 계급 구분을 폐지하고 고위공무원단 소속으로 통합 관리하는 고위공무원단 제도는 2006년 7월 1일부터 시행됐다. 고위공무원단 제도 시행 후 고위공무원으로 퇴직한 인원은 2,675명이다.

관련기사



고위공무원단을 대상으로 한 성과평가에서 지난 10년간 최하위 등급인 ‘매우 미흡’ 평가를 받은 사람은 32명에 그쳤다. 다만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최하위 등급을 받은 인원은 연 평균 2.4명이었으나 인사관리 강화에 따라 지난해에는 10명이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는 게 인사혁신처의 설명이다.

고위공무원간 성과급 격차는 2007년 710만원에서 올해 1,500만~1,800만원으로 늘었다. 개방형 고위공무원 직위의 민간임용률 역시 2006년 19.5%에서 지난해 34.1%로 증가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