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속도 내는 경남도 '항공·나노융합 산단' 조성

KDI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내달 LH와 협약 체결

경남도의 항공·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 조성계획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 사업 추진이 본격화된다.

경남도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항공·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항공과 나노융합의 B/C(비용대비 편익)가 각각 1.44, 1.19로 나와 사업 타당성을 확보했다고 29일 밝혔다.

또 경제성 등 2개 분야 9개 세부 항목으로 구성된 공공성(70%)과 사업의 재무성 등 2개 분야 6개 세부 항목으로 구성된 수익성(30%)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종합평가(AHP)에서 항공은 0.634, 나노융합은 0.571로 집계됐다. B/C는 1 이상이면 사업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AHP는 0.5 이상이면 사업시행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항공·나노융합 산단은 지난해 6월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KDI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서 2015년 7월부터 1년간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했다.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면서 국가의 재정지원 및 공공기관 부담분의 합이 300억원 이상인 신규 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야 한다.

항공·나노융합 국가산단 사업개요항공·나노융합 국가산단 사업개요





경남도는 그동안 효율적인 예비타당성조사를 위해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에 적극 협의하고, 사천·진주·밀양시·LH·경남발전연구원과 합동으로 대응팀을 구성해 논리 개발과 현장 점검시 안내, 사업의 당위성 등을 지속 건의해왔다.

관련기사



특히 B/C 분석의 절대적인 요소인 신규투자비율 확보를 위해 항공의 경우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8개 기업과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경남항공산업협동조합을 설립해 총 38개 항공산업 관련기업이 입주의향서를 제출했다. 나노융합은 한국카본 등 총 33개의 입주의향 기업과 투자협약을 체결하는 등 투자유치 활동을 적극 전개해 왔다.

경남도는 다음달에 사업시행자인 LH와 사업 본격 추진을 위한 협약서를 체결하고 기업, 전문가 등으로 공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국가산단 조기 조성과 기업유치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최만림 미래산업본부장은 “사업타당성이 확보됨에 따라 국토교통부 등 관련 기관과 적극 협의해 국가산단계획 승인 등 행정절차 진행에 속도를 내고 기업유치를 본격 추진해 성공적인 국가산단이 조성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창원=황상욱기자 sook@sedaily.com

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