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온난화로 2040년되면 쌀 생산량 13.5% 준다

농촌진흥청 분석 결과, 1990년대 대비 감소

◇국내 쌀 생산량 변화 전망◇국내 쌀 생산량 변화 전망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2040년대가 되면 국내 쌀 생산량이 지난 1990년대보다 13.5% 줄어들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농촌진흥청은 온난화 등 기후변화가 계속되면 쌀 생산성이 1990년대 대비 2040년대는 13.6%, 2060년대 22.2%, 2090년대에는 40.1%로 지속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분석 결과는 기후변화에 관한 국가간패널(IPCC) 5차 보고서 등을 기반으로 만들었다.

관련기사



진흥청은 벼 재배 지역에서 현재의 품종과 재배법을 유지한다는 가정 아래 기후변화에 따른 연대별 전국 8도의 쌀 생산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 2040년대에는 충북의 감소율이 9.6%로 가장 낮고, 충남이 17.1%로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됐다. 2060년대에는 강원이 15.5%로 가장 낮고, 충남이 26.3%로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됐다. 2090년대에는 강원도가 27.4%를 보여 가장 낮았으며, 충남이 44%로 감소 폭이 가장 컸다.

농촌진흥청은 이에 대응해 고온적응 벼 품종과 이앙시기, 시비 방법 등 재배법 개발에 힘쓰고 있다. 쌀뿐만 아니라 보리, 콩, 감자 등 다른 식량작물의 온도상승에 따른 생산성 감소 연구와 더불어 작물별 이상기상 발생에 따른 생산성 감소 정도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이건휘 작물재배생리과장은 “최근 계속된 풍년으로 쌀 생산량이 늘었지만, 장기적으로는 생산성이 감소될 것”이라며 “이번 조사 결과는 쌀 수급안정을 위한 방안과 적정생산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상훈기자 shlee@sedaily.com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