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안면홍조 있으면 골다공증 발병 위험 최대 3배 높아져

폐경기 女 안면홍조 등 혈관운동증상은

뼈 건강 이상 신호

폐경기 여성 3명 중 2명이 겪는 안면홍조 등 혈관운동증상이 골다공증 발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박현태 고려대 안암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은 지난 2010∼2012년 안암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45∼65세 여성 1,390명을 조사한 결과, 혈관운동증상이 나타난 폐경기 여성이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골다공증 위험이 최대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390명 중 815명(58.6%)이 혈관운동증상을 보였으며, 이 중 경증이 471명(33.9%)·중등도 이상이 344명(24.7%)으로 폐경기 여성 절반 이상이 혈관운동증상을 겪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경증 혈관운동증상이 있는 여성의 경우 고관절(엉덩관절)에 골다공증이 발생할 위험도가 약 1.5배, 요추(허리뼈)에 골다공증이 발생할 위험도가 약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도 이상의 혈관운동증상이 있는 여성의 경우 고관절 골다공증이 약 3배, 요추 골다공증이 약 2배의 위험도를 보였다.

박현태 교수는 “열이 나고 식은 땀이 나는 것을 단순히 폐경기 증상이라 넘기는 경우가 많다”며 “안면홍조나 발한 등의 혈관운동증상은 골다공증의 위험신호로 볼 수 있기에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의 상담과 체계적인 검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여성 환자가 골밀도 검사를 받고 있다. /사진제공=고려대병원한 여성 환자가 골밀도 검사를 받고 있다. /사진제공=고려대병원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