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모 소득 높을수록 대기업 취업에 유리

"자기계발을 위한 경험을 쌓고 취업 준비에 집중할 수 있어 양질의 일자리를 얻기에 유리"

출처=한국고용정보원출처=한국고용정보원


부모 소득에 따라 ‘수저 색깔’을 논하는 대한민국 대학생들의 현실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모 소득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대기업 취업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29일 한국고용정보원은 ‘재학 중 근로경험 유형에 따른 근로자 특성 및 노동시장 성과 차이’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있는 대학생 2,695명을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1,313명)와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1,382명)로 분류했다.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부모나 친지로부터 학비를 지원받고 실습, 인턴 등 전공에 부합하는 근로를 한 학생을 말하며,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는 본인 스스로 혹은 학자금 대출을 통해 학비를 마련하고 아르바이트 등 전공과 잘 맞지 않는 근로를 한 학생을 말한다.


두 집단의 부모 월 소득은 차이를 보였다.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부모의 월 소득이 ‘3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인 비율이 42.7%로 가장 높았고,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은 25.4%, ‘1000만원 이상’은 4.4%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반면,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의 절반 이상인 59.0%는 부모의 월 소득이 300만원에도 못 미쳤다.

출처=한국고용정보원출처=한국고용정보원


중·상류층 자녀가 주를 이루는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졸업 후 종업원 500인 이상 대기업에 취업하는 비율이 17.8%였다. 하지만 서민층 자녀가 절반 이상인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는 대기업 취업 비율이 14.4%에 그쳤다.

취업 후 2년 내 이직률은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가 54.07%,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가 59.33%였다.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가 비정규직으로 취업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고용정보원 정한나 부연구위원은 “부모 소득과 재학 중 일자리 경험, 대기업 취업 확률 및 근로조건에서 뚜렷한 상관관계가 드러난다”며 “부모로부터 학비 지원을 받은 학생들은 자기계발을 위한 경험을 쌓고 취업 준비에 집중할 수 있어 아무래도 좋은 일자리를 얻기에 유리하다”고 밝혔다.

/정승희 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