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금값 급등에… 한은 평가손실 줄었다

11억5,000만달러에서 1년새 3억7,000만달러로

김중수 전 총재 시절 금을 대량 매입했던 한국은행이 최근 금값 상승에 반색을 표하고 있다. 과거 금을 높은 가격에 매입한 탓에 평가손실을 보고 있었지만 최근엔 금 가격이 오르면서 손실이 줄었기 때문이다.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은이 현재 보유한 금은 총 104.4t이다.

2011년 추가매입 이전까지는 금 보유량이 14.4톤(t)에 불과했지만 전임 김중수 총재 시절 금 보유량 확충 계획을 세우고 공격적으로 금을 매입했다. 당시 한은의 금 추가 매입량은 2011년 40톤, 2012년 30톤, 2013년 20톤 등 총 90톤이다. 전체 외환보유액에서 금이 차지하는 비율도 2010년 0.03%에서 추가 매입 후엔 1.3%로 상승했다.


한은은 정확한 매입가격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다만, 매월 외환보유액을 발표할 때 보유한 금의 가치를 시가가 아닌 매입 당시의 장부가격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다. 한은이 지난달 말 공개한 외환 보유액에서 보유한 금의 장부가격은 47억9,000만달러다. 때문에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금 가격의 등락에 한은 보유 금 평가액도 따라 움직인다는 점이다.

관련기사



최근 글로벌 경기 부진에다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금의 가격이 급등하고 있어 시가로 평가한 한은 보유 금의 가치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 28일 기준 국제 금시세인 트로이온스 당 1,315.68달러를 적용하면 한은이 보유한 금의 평가액은 44억1,613만달러다. 매입가격 대비 3억7,387만달러 가량의 평가손실이 발생한 셈이다.

금 가격이 트로이온스당 약 1,000달러 수준에서 맴돌던 1년 전과 비교하면 평가손 규모가 크게 줄어든 것이다. 금 가격이 트로이온스 당 1,085.5달러였던 작년 7월에만 해도 한은 보유 금의 평가액은 36억4,351만달러였다. 시가로 평가한 손실이 11억4,648만달러였다. 아직 장부가격을 회복하지는 못했지만 금 시세가 상승하면서 평가손 규모가 절반 이하로 줄어든 것이다.

한은은 금 매입이 외환보유액의 통화·상품 다변화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이뤄진 것이어서 금 가격 변동에 따른 단기적 손익 평가는 의미가 없다는 입장이다. 금 가격은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지만 한은의 금은 단기 차익을 노린 매매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