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브렉시트 이후] "英과 공들인 '대서양 금융규제' 무너질라" 초조한 美

FT "獨·佛 입맞 맞춘 금융정책 확대…금융위기 씨앗 우려"

민주당을 중심으로 미국 정치권에서는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 여파로 글로벌 금융규제체제가 무너지면서 금융위기의 씨앗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셰러드 브라운(오하이오) 민주당 상원의원 등 일부 미 정치권과 정책 당국자들은 영국이 유럽연합(EU)을 떠나면 나머지 유럽 국가들이 독자적인 금융규제를 만들 것으로 본다”며 “미국과 영국이 주축이 돼 만든 ‘대서양 금융규제’가 금융위기 이전처럼 누더기로 바뀔 것이라는 두려움이 번지고 있다”고 전했다.


자본시장이 발달한 미국과 영국은 금융위기 재발을 막기 위해 대형 은행의 유동성 확보, 파생거래, 레버리지 비율 등에 대한 금융규제에 앞장서왔다. 반면 유럽의 대다수 국가는 은행이 차입을 고객 대출에 의존해왔기 때문에 금융위기 가능성이 낮고 규제 강화에도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다.

관련기사



FT는 한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영국은 그동안 EU 내에서 금융규제를 논의할 때 미국 입장을 대변해왔다”며 “브렉시트 결정 이후 금융 관련 EU 집행위원인 영국 측 조나단 힐의 사퇴에 미 정부가 애통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앞으로 프랑스와 독일 입맛에 맞춰 금융정책이 만들어지면서 영미식 시장자유주의가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이 FT의 설명이다.

심지어 영국마저 브렉시트 이후 글로벌 금융기관이 런던을 탈출하며 금융허브 지위가 위협받는 사태를 막기 위해 금융규제를 완화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하지만 금융규제 공조체계의 붕괴가 기우라는 반론도 있다. 팀 마사드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회장은 “마크 카니 영국중앙은행(BOE) 총재 등 영국 규제 당국자들이 금융개혁에 매우 적극적”이라며 “금융위기 이후 실행된 주요 금융개혁 가운데 상당수는 미국과 EU가 아닌 주요20개국(G20) 차원에서 진행돼왔다”고 반박했다.

/뉴욕=최형욱특파원 choihuk@sedaily.com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