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맞벌이 가구 비율 40·50대에서 가장 많아…육아 후 재취업

통계청은 29일 ‘2015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을 발표했다./출처=통계청 홈페이지통계청은 29일 ‘2015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을 발표했다./출처=통계청 홈페이지


맞벌이 부부 중 40·50대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어린 자녀를 둔 20·30대는 10%에 그쳤다.

29일 통계청은 ‘2015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을 통해 이와 같은 결과를 내놓았다.


지난해 10월 기준 유배우 가구는 1,185만8,000가구다. 이 중 맞벌이 가구는 520만6,000가구로 전체 유배우 가구의 43.9%를 차지했다. 2014년 10월과 비교했을 때, 맞벌이 가구는 2만 가구(0.4%) 증가했다.

가구주의 연령별로 맞벌이 가구 비율을 보면 50대가 51.7%, 40대가 51.4%로 높았다. 15~29세는 37.9%, 30대는 42.6%에 그쳤다.

맞벌이 가구(520만6,000가구) 가구주의 연령별 구성비로 보면 50대가 171만3,000가구로 32.9%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40대가 30.8%, 30대 16.0%, 15~29세는 1.2% 순으로 뒤를 이었다.

유배우 가구 중 6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는 38.1%로 가장 낮았다. 13~17세는 57.6%, 7~12세는 51.6% 등으로 집게됐다. 미성년자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를 보면 자녀가 어릴수록 맞벌이 가구 비율이 낮았다.


이는 20·30대 젊은 층 여성들이 결혼, 임신,출산, 육아의 과정을 거치며 겪는 경력단절 현상이 여실히 드러나는 결과를 보여준다.

관련기사



국가에서 제공하는 보육 서비스가 부실한 관계로, 따로 아이를 맡길 데가 없는 여성들은 직장을 그만두고 육아에 전념하다가 자녀들이 성장하면 뒷바라지를 위해 다시 취업전선에 뛰어드는 것으로 해석된다.

가구주가 취업자인 가구(984만 1,000가구) 중 가구주의 직업별로 맞벌이 가구 비율을 보면 농림어업숙련종사자가 85.8%, 서비스종사자가 62.4%, 판매종사자가 60.9% 순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부부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남자가 46.7시간, 여자가 40.9시간으로, 2014년에 비해 각각 0.1시간, 0.5시간씩 감소했다. .

동거 맞벌이 부부의 근로형태를 보면 가구주와 배우자 모두 상용근로자인 비율은 44.5%였다. 가구주가 상용근로자면서 배우자가 임시·일용근로자인 비율은 12.4%다.

시·도별 유배우 가구 중 맞벌이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제주가 61.4%로 가장 높았고, 전남 58.4%, 충북 53.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천 41.1%, 경기 41.0%, 서울 38.3%으로 수도권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농림어업과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이 많인 지역일수록 맞벌이 비율이 높았다.

/정승희 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