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힐러리 대권가도 날개 다나

美 하원특위 "벵가지 테러사태 책임 없다" 최종결론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리비아 벵가지에서 지난 2012년 벌어진 미 영사관 테러 사태의 진상을 조사해온 미 하원 특별위원회가 28일(현지시간) 최종 보고서를 공개했으나 힐러리 클린턴 당시 미 국무장관의 잘못을 입증할 새로운 증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고 뉴욕타임스(NYT) 등 미 언론들이 보도했다. 미 언론에서는 특위 조사 결과 벵가지 사태에 발목이 잡혀온 클린턴 전 장관에게 최종 면죄부를 줌으로써 오히려 그의 대권가도에 탄력을 붙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미 공화당이 주도한 하원 벵가지특위는 이날 2년간의 활동을 마치고 800쪽이 넘는 최종 보고서를 공개했다. 특위는 이 보고서에서 클린턴 전 장관을 직접 지목하지는 않으면서도 국무부와 국방부 등이 안보 리스크에 적절히 대응하지 않았으며 충분히 보호할 수 없는 벵가지영사관을 폐쇄하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보고서는 또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중요 서류와 증인들을 감추고 있다고 비난해온 공화당의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다만 벵가지특위가 클린턴 전 장관의 새로운 잘못이나 직무유기의 증거를 발견하지는 못하면서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벵가지 사태로 클린턴 장관의 발목을 잡으려던 공화당의 계획은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오히려 2년이라는 긴 시간과 700만달러의 예산을 투입한 진상조사에서 별다른 성과를 올리지 못한 데 따른 비난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클린턴 전 장관은 이날 대선 캠페인차 방문한 덴버에서 “(특위) 조사는 앞선 조사에서 나온 결론을 반박할 내용을 찾아내지 못했다”며 “이제는 앞으로 나아가야 할 때임이 명백해졌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공화당이 주도하는 벵가지특위가 진상 규명보다 클린턴 전 장관을 흠집 내는 데 목적이 있다고 반박해왔다.

민주당의 사실상 대선후보인 클린턴은 국무장관 재임 시절인 2012년 9월11일 리비아 무장집단이 벵가지 소재 미 영사관을 공격해 대사를 포함한 미국인 4명이 사망한 사건에 대한 책임 논란에 휩싸여왔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