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이우환 위작 논란, '영구 미제'로 남나

이우환, 경찰 위작 결론낸 13점 모두 진품

감정단과 작가 완전히 상반된 의견

이우환이우환


‘위작 논란’에 휩싸인 현대미술가 이우환(80·사진) 화백이 위작 판정이 난 그림 13점에 대해 “전부 진품”이라고 밝혔다.

이 화백은 29일 오후 서울 중랑구 묵동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에 출석해 그림을 확인한 후 “13점 중 한 점도 이상한 것을 확인하지 못했다”며 “호흡, 리듬, 채색 쓰는 방법이 모두 내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전문가들이 ‘위작’이라고 판정한 작품에 대해 써준 작가 확인서에 대해서도 “내가 쓴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통상적으로는 생존작가의 작품에 대한 진위 감정은 작가 견해를 존중하는 편이지만 ‘이우환 위작’의 경우 전문 감정가의 의견과 이 화백의 입장이 절충점 없이 첨예하게 엇갈리는 바람에 미궁으로 빠져들었다. 더군다나 경찰이 압수한 이들 13점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과학감정 결과에서도 ‘모두 위작’ 판단이 내려졌음에도 이 화백은 ‘진품’ 쪽에 무게를 둔 입장을 고수해 쉽사리 결론을 찾기 어려웠다. 또한 위작 의혹을 받는 작품 중 1점은 미술 시장에서 ‘작품 보증서’와 맞먹는 효력을 가진 ‘작가 확인서’까지 이 화백이 직접 써줬다고 밝히며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이 같은 상황 전개를 두고 이 화백은 작가 감정을 배제한 채 경찰이 위작 수사를 하는 것과 자신에게 그림을 보여주지도 않은 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위작’ 결론을 발표한 것에 강한 불만을 토로해왔다.



그러나 이날 이 화백이 “13점 모두 진품”이라고 주장했다고 해서 논란이 쉽게 사그라들지는 미지수다. 경찰 측이 이 화백의 진위 판단을 다양한 감정 의견 중 하나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작가와 감정기관이 팽팽하게 맞설 경우 자칫 ‘영구미제사건’으로 남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 화백은 진품으로 결론 내린 이유 등을 밝히기 위해 30일 오후 기자회견을 예정하고 있다.


앞서 지난 27일 경찰서를 찾아 처음으로 13점의 ‘문제작’을 직접 본 이 화백은 “확인할 게 있으니 다시 봐야겠다”며 확답을 미뤘다. 애초 “내 작품은 위작을 그리기 어렵다” 또는 “내 작품은 사진으로 봐도 알아볼 수 있다”고 언론을 통해 밝혔던 것과 달리 작품을 확인한 뒤에는 ‘진위를 즉시 판단하기 어렵다’며 결론을 보류했다. 이에 대해 이 화백은 “이틀 전에도 다 진짜라고 생각했는데 좀 더 고민해보고 입장을 밝히기 위해 시간을 가졌다”고 설명했다. 이날 출석 당시 이 화백의 손에는 자신의 작품이 수록된 도록과 그림의 세부를 들여다보기 위한 확대경이 들려 있었다.

관련기사



경찰은 4월 이 화백의 위작이 수십억원어치 이상 유통된다는 첩보를 입수해 일본으로 도피한 위조 총책 현모씨를 일본 경찰과 공조해 붙잡았고 현씨는 2012년부터 작품을 위조해 유통책에 전달했다고 혐의를 시인했다. 위조범이 위조 사실을 인정한 부분에 대해서 이 화백은 “잘 모르겠다”며 언급을 거부했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