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제2 만세운동 주도 이신애 선생 '7월 독립운동가'

조선민족대동단 여성 대표

독립운동 군자금 모집 앞장





조선민족대동단 여성 대표로 제2만세운동을 이끈 이신애(1891년1월~1982년9월) 선생이 ‘7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됐다.

선생은 평안북도 구성에서 무남독녀로 태어나 부친을 일찍 여의고 홀어머니를 따라 원산으로 이주했다. 개성 호수돈여학교에 진학했으나 어려운 가정형편과 건강 악화로 학교를 중퇴했다.


1914년 성경여학교에서 공부한 후 1918년 루씨여학교 두산리 분교에서 교편을 잡으며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이듬해 5월부터 혈성부인회에 가담해 중국 상하이임시정부로 보낼 군자금을 모집했으며 그해 9월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를 처단하기 위해 서울로 들어온 강우규를 숨겨주고 군자금을 모집해 의거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했다.

관련기사



같은 해 9월 조선민족대동단에 가입해 부인단 총대에 선출됐다. 당시 대동단은 1919년 10월 조직 본부를 상하이로 옮기기 위해 의친왕 이강을 중국으로 망명시키려 했다. 아울러 대동단은 상하이임시정부 특파원 이종욱 등과 연계해 제2독립선언서를 발표하고 만세운동을 벌일 계획이었다.

그러나 11월11일 상하이로 향하던 의친왕 일행이 만주 안동역(오늘날 단둥역)에서 체포되면서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일제 경찰의 체포망에서 벗어난 선생과 나창헌 등은 만세운동을 다시 추진했다. 독립선언서를 인쇄해 의친왕과 여성대표 이신애 등 3·1운동 때와 같은 33명의 독립운동가가 서명했다.

1919년 11월28일 선생은 동료들과 함께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안국동 경찰관 주재소 앞 광장에서 독립선언서를 뿌리고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운동을 벌였다. 일제 경찰에 체포돼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선생은 1920년 3월1일 서대문형무소 같은 동에 있던 유관순 등과 3·1운동 1주년을 맞아 옥중에서 만세를 부르다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심한 고문을 당했다. 정부는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고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선생의 공적을 기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다./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