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VR방 규제 때문에 포기? 절차 안 밟고 생떼?

VR방 사업자 오픈 잠정연기

"전파 인증·심의 규제 과도탓"

미래부 "게임심의 등 완화 단계

정상절차 안 밟고 사실 왜곡"

PC방을 대체해 중국 등에서 선보이고 있는 ‘가상현실(VR)방’ 사업을 놓고 사업자와 정부가 티격태격하고 있다.


국내 첫 VR방 사업을 준비하던 와우인사이트는 4일 규제에 걸려 VR방 출시를 잠정 연기하고 VR플랫폼 스타트업으로 재도전한다고 주장했다. ‘VR 방’은 삼성 기어VR이나 미국 오큘러스, 대만 HTC의 바이브 등 VR기기로 게임·탐험 콘텐츠 등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실례로 대만 HTC는 중국 PC방 프랜차이즈 업체인 ‘순왕커지’에 VR체험코너를 만들어 5달러를 내면 10분간 VR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 상하이에서도 비행기 시뮬레이터, 놀이공원 가상 체험 등의 공간들이 속속 마련되고 있다.

관련기사



와우인사이트 측은 이날 “최근 강남 1호점 오픈을 앞두고 5차례 사전 테스트를 하며 출시 준비가 한창이었으나 기기 전파인증, 게임 심의등급 등 규제에 걸려 잠정 연기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 미디어 아티스트 길드 SAI와 업무협약(MOU)을 맺었다”며 “기업들은 VR 복합 체험공간을 무료로 경험하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 업체는 이날 보도자료에 전화번호도 넣지 않았고 이메일만 표시했으나 그나마 답변을 하지 않았다. 회사 홈페이지에도 전화가 없었고 114에도 등재돼 있지 않았다.

이에 대해 미래창조과학부 측은 “과도한 규제가 막은 게 아니다”며 업체의 정보왜곡을 지적했다. 우선 와우인사이트가 사용하려던 오큘러스나 바이브 등이 아직까지 한국에서 전파인증을 받지 않은 상황에서 VR방 사업자가 엉뚱한 생떼를 쓰고 있다는 것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국내 소비자의 안전성을 위해서 국내 전파 인증절차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단계”라며 업체의 주장에 어이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