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한국 기업, 수익성·성장성 이미 중국 기업에 추월"

전체 상장기업 8개 지표 중 5개 중국이 우위

평균 자산규모, 특허출원수, 해외M&A 금액도 역전

상위 30대 기업 격차도 점점 줄어

"중국기업 추월 대비 우리 정부 기업 대응책 필요"

한국 기업의 빠른 추격자인줄로만 알았던 중국 기업이 수익성과 성장성 등 주요 경쟁력 부문에 있어 국내 기업을 이미 앞질렀다는 분석이 나왔다.

5일 한국경제연구원은 ‘한·중 양국의 기업경쟁력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2014년 기준으로 중국 전체 상장기업의 8개 지표 중 5개(수익성, 성장성, 평균 자산규모, 특허출원 수, 평균 해외 M&A 금액)가 한국 기업을 앞질렀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특히 평균 자산규모의 경우 중국 기업은 2007년 6억 3992만 달러로 한국 11억 5348만 달러의 55% 수준이었지만, 7년 후인 2014년에는 15억 704만 달러로 한국(14억 6328만 달러)을 추월했다고 분석했다. 또 매출 증가율의 경우 중국 상장기업은 2014년 기준 7.66%로 한국(3.39%)의 2배 수준이었다.

영업이익률은 중국 상장 기업과의 차이가 더욱 벌어졌다. 2007년 4.26%에서 2014년 4.86%를 기록했다. 평균 해외 M&A 금액은 중국기업이 2014년 700만달러로 한국 228만달러로 한국 기업보다 세 배 가량 많았다.


한국과 중국의 매출액 상위 30대 기업 기준으로 보면 아직 한국 기업이 앞서고 있지만 격차는 더욱 줄어들고 있다. 중국 기업은 8개 지표 중 수익성, 성장성, 평균 해외 M&A 금액에서 앞서고 있었다. 수익성 지표인 영업이익률은 2014년 중국은 13.8%로 한국(6.82%)의 두 배에 달했다. 또 같은 해 성장성 지표인 매출증가율도 중국 12.8%로 한국(5.45%)을 앞질렀다. 평균 해외 M&A 금액은 중국이 2007년 33만달러에서 2014년 1509만달러로 크게 증가했다. 한국은 2007년 572만달러에서 2014년 912만달러로 소폭 상승한데 그쳤다. △연구개발 비중△특허출원 수△해외 매출 비중△평균 자산규모△노동생산성 지표는 한국이 중국보다 우위에 있었다.

관련기사



제조업 상장기업 중에서는 하이테크·고기술 부문에서도 중국의 추격이 가속화 되고 있었다. 고기술·하이테크 수준 기업은 8개 지표 중에서 2007년 중국이 앞선 것이 3개, 한국 5개였으나 2014년 중국 4개, 한국 4개로 같았다. 중기술과 저기술 수준 기업은 중국이 이미 앞섰다. 중기술 수준 기업은 2007년 중국 4개, 한국 4개에서 2014년 중국 6개 한국 2개로 한국이 뒤쳐졌다. 저기술 기업은 2007년 중국이 6개, 한국이 2개에서 2014년 중국 7개, 한국 1개로 우위 지표가 줄었다.

중국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는 배경에는 △정부의 국유기업에 대한 재정 지원△정부의 IPO(기업공개) 추진·장려 정책△정부와 대기업의 기술개발형 펀드조성△기술력·브랜드 흡수를 위한 해외 M&A 추진△소비력이 향상된 중국내 소비시장 등이 있었다.

김산월 국민대 교수는 “중국기업의 추월에 대비한 우리정부와 기업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정부는 기업 상장(IPO) 활성화를 위해 규제를 완화하고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을 개선하며 기술개발투자에 유리한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차원에서는 대기업은 기술력 제고에 목적을 둔 M&A를 잘 활용하고, 중소기업은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발굴하고 해외시장 점유율을 늘려 히든챔피언으로 성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