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野 법인세 인상 주장에 맞서 불붙는 與 부가세 인상론

강봉균 이종구에 이어 추경호까지 "굳이 증세 한다면 부가세 올리는게 경제왜곡 최소화" 주장..

추경호 의원추경호 의원


부가가치세 인상론이 탄력을 받고 있다. 복지재원과 국가부채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증세를 한다면 법인세가 아니라 부가가치세 인상이 그 방안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국무조정실장을 지낸 추경호(대구 달성군) 새누리당 의원은 5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기본적으로 나는 증세에 반대하는 입장”이라면서도 “증세가 필요하다면 부가세를 먼저 올려야 한다는 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경제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라고 말했다.

추 의원은 이어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법인세를 올리는 건 조세구조나 다른 나라의 경우를 봤을 때 수단으로 적절하지 않다”면서 “상대적으로 적게 걷고 있는 소비세에 접근해야 하는데 조세저항이 있어 정치인들이 증세 수단으로 말 없는 기업을 공격하고 있는 것”이라며 야당의 법인세 인상론을 비판했다.


추경호 의원실이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OECD 국가 평균보다 부가세는 적게, 법인세는 많이 걷고 있다. 한국의 총조세수입 대비 부가세의 비중은 41.7%로 OECD 국가 평균인 48.5%보다 6.8%포인트 낮다. 반면 한국의 총조세수입 대비 법인세의 비중은 19%로 OECD 국가 평균인 11.5%보다 7.5%포인트 높다. 추경호 의원은 “OECD에서도 한국이 만약 증세를 한다면 직접세보다 부가세 등 소비세 쪽으로 접근하라고 권고하고 있다”며 “그것이 효율적이고 경제 왜곡을 최소화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부가세 인상론은 지난 20대 총선기간 강봉균 당시 새누리당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제기한 바 있다. 강봉균 위원장은 “일본이 증세를 얘기하지 않고 쓰기만 해서 10년 사이 세계 1등의 국가부채를 진 나라가 됐다”며 “그렇게 (증세를) 안 하면 우리도 일본처럼 된다”고 증세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부가가치세율이 시작부터 10%였고 일본은 3%에서 시작했는데 세금 더 낸다면 표를 안 주니까 재정적자가 나는데도 (부가세율을) 올리지 못했다가 지금 8%까지 올렸다”며 증세의 방안은 부가세 인상이 돼야 함을 에둘러 제시했다.

앞서 이종구(서울 강남갑) 새누리당 의원도 “만약 세금을 올린다면 부가세를 올리는 게 될 것”이라며 “그런데 최근 세수가 많이 모자라는 것 같지는 않아 신중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