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사드배치' ...대구 칠곡으로 굳어지나

국방부 부인하지만 북 방사포 사정권 밖

미군기지·전쟁물자 저장소 존재등 최적지 거론

지역 반발·사드배치 무용론 확산이 새 변수

과연 칠곡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가 배치될까. 동아일보가 이를 5일자로 확정적으로 보도해 그 진위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방부는 이를 전면 부인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배치 시기와 배치 지역은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분명히 말했다.

방한 중인 프랭크 로즈 미국 국무부 군축 검증·이행 담당 차관보가 류제승 국방정책실장과 만나 사드 협의를 진행하느냐는 질문에도 “우주정책과 북한 상황, 군비통제와 관련된 전반적 문제를 협의할 예정”이라며 “사드 문제와 관련한 논의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국방부의 부인에도 사드 후보지가 계속 거론되는 이유는 두 가지다. 먼저 지난 3월부터 업무를 시작한 한미공동실무단의 연구 검토 결과가 나올 만한 시점이 됐다. 늦어도 오는 10월 한미 국방장관회담(연례안보협의회)에서 발표한다면 실무 차원의 검토는 이미 완료 단계여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후보지로 거론되는 지역의 반발이 예상보다 훨씬 강하기 때문이다.


육군 미사일사령부가 훈련장을 마련하기 위해 음성 부지를 매입한 것이 사드 기지용 부지 매입으로 와전되며 ‘사드 배치 반대 음성군 대책위원회’가 이날 공식 발족, 1만명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칠곡군청과 칠곡의회도 이날 보도를 접한 뒤 반대한다는 성명을 내놓았다. 민감한 이슈이기에 정부의 작은 움직임 하나하나가 그대로 전달된다는 얘기다.

관련기사



국방부는 부인했으나 한미공동실무단이 북한의 기습 등 다양한 상황을 가정하고 사드로 방어하는 시뮬레이션(가상연습)을 실시한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동아일보는 컴퓨터를 통한 도상훈련 결과 칠곡이 평택과 음성, 원주, 군산과 기장을 제치고 최적지로 떠올랐다고 보도했다. 이를 뒷받침하는 정황도 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최근 국회에서 “사드가 서울 방어에 도움이 된다고 얘기한 적 없다. 한반도 방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 답변이 배치 지역은 남쪽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둔 발언이라는 것이다.

칠곡은 세 가지 측면에서 최적지로 지목된 것으로 알려졌다. 첫째, 북한의 신형 방사포 사거리 밖의 후보지는 칠곡과 기장뿐이다. 둘째, 대구에는 미군기지는 물론 대규모 물자저장소가 있으며 셋째, 사드 기지를 건설할 산악지형이 있다는 것이다.

사드 배치에는 주민 반발과 더불어 중앙의 반대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는 점도 새로운 변수로 꼽힌다. 이영희 중앙일보 대기자는 최근 ‘사드 배치를 포기하자’는 칼럼을 실었으며 친박 핵심으로 알려진 윤상현 새누리당 의원도 이날 사드 배치 무용론을 펼쳐 이목을 끌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