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수면 시간 부족하면 대사증후군 위험 2배↑

수면 시간이 부족한 사람의 대사증후군 위험이 일반인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출처=이미지투데이수면 시간이 부족한 사람의 대사증후군 위험이 일반인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출처=이미지투데이


수면 시간이 부족하면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2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 낮은 고밀도지단백(HDL) 콜레스테롤, 높은 중성지방 중 세 가지 이상의 위험인자가 한꺼번에 나타나는 것으로, 방치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6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강원대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박현주 교수가 보건복지부 주관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 박 교수팀은 성인남성 799명, 성인여성 780명 등 근로자 1,579명을 대상으로 교대근무 여부 등 근로 형태와 수면시간을 함께 고려해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평가했다.

그 결과 수면시간이 ‘8시간 이상’인 경우는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15%에 그친 반면, ‘6시간 이하’인 사람은 24.4%로 집계돼 발생 위험이 1.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대근무·주간 근무 등 근무 형태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한국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6.3시간으로, 미국수면재단(NSF)에서 권고하는 하루 적정 수면 시간인 ‘7~9시간’에 미치지 못한다.

관련기사



박 교수팀은 논문을 통해 교대근무자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높은 것은 수면 탓임을 밝히며, 하루 6시간 이상 적정 수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성별로는 남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이 여성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인 비만·고지혈증·고혈압 유병률이 남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또 대사증후군 위험은 나이가 들수록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40세 미만 근로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1로 놨을 때, 40대는 1.8, 50대는 1.9, 60세 이상은 3.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교대근무와 수면시간이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는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의 학술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