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불붙은 글로벌 산업전쟁] "해운·조선 공생 강화해야 살아남는다"

김영무 선주協 부회장 인터뷰

김영무 선주협회 부회장김영무 선주협회 부회장




“지금까지 한국 해운·조선 업계는 각자생존에 몰두해왔습니다. 이제는 서로 힘을 합쳐 당면한 위기를 극복해야 합니다.”


김영무(사진) 한국선주협회 상근부회장은 최근 그리스 아테네에서 폐막한 ‘국제 조선·해운박람회(포시도니아)2016’ 현장에서 기자와 만나 이렇게 말했다. 전 세계 조선·해운 업계가 미래산업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치킨게임을 벌이는 와중에 국내 기업들이 공생관계를 강화해야 이 게임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얘기다.

관련기사



김 부회장이 바라는 공생이란 국내 해운사들이 금융권의 지원을 받아 초대형 첨단상선을 국내 조선소로 발주하는 것이다. 해운사는 운송비용을 낮출 수 있고 조선소는 내수물량을 확보해 수주가뭄을 버틸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김 부회장은 “지난 2009~2015년 한국수출입은행이 조선소 수주를 지원하기 위해 국내외 해운사들에 제공한 선박금융 규모는 125억달러(약 14조5,800억원)인데 이 중 85%인 108억달러가 해외 선사로 몰렸다”며 “이만한 자금이 국내 해운사에 지원됐다면 양대 국적선사인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거대 해운사와 겨룰 만한 선단을 보유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지금이라도 12억달러짜리 선박펀드를 조성해 국내 해운사의 초대형 상선 건조를 지원하기로 결정한 것은 다행이라고 했다. 다만 김 부회장은 “선박펀드의 현재 규모는 해운·조선 업계가 본격적인 공생기반을 마련했다고 보기에는 너무 작다”며 “업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려면 액수를 획기적으로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테네=이종혁기자 2juzso@sedaily.com

이종혁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