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찢기고 불탄 손상화폐 1조5,000억...새 지폐로 바꾸는데 220억 들었다

<한은 상반기 대체비용>

화재따른 교환액 43%로 최고

불에 타서 손상된 지폐들. /사진제공=한국은행불에 타서 손상된 지폐들. /사진제공=한국은행


올해 상반기 한국은행이 폐기한 손상 화폐가 1조5,000억원이 넘었다. 손상 화폐를 새 지폐로 대체하는 데는 220억원가량이 소요됐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2016년 상반기 중 손상화폐 폐기 및 교환규모’에 따르면 금융기관 및 한국은행 화폐교환 창구에서 회수한 손상 화폐는 1조5,151억원으로 전기 대비 1,463억원(8.8%) 감소했다. 한은은 이를 새 화폐로 대체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219억원이라고 밝혔다.


손상 화폐를 보면 은행권(지폐)이 1조5,143억원이었고 주화는 9억원이었다. 은행권 중에는 1만원권이 1조2,349억원으로 81.5%를 차지했다. △1,000원권 995억원(6.6%) △5,000원권 955억원(6.3%) △5만원권 844억원(5.6%) 등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주화는 100원화가 4억원으로 주화 전체 폐기액의 49.4%를 차지했다. 500원화는 3억원(37.0%), 50원화는 7,000만원(8.4%), 10원화는 5,000만원(5.2%)이 각각 폐기 처리됐다.

이 중 한국은행 화폐교환 창구를 통해 교환된 손상 은행권은 9억1,600만원이었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보다 1억원 남짓 증가한 것이다. 나머지 금액은 모두 시중은행 등 타 금융기관을 통해 교환됐다.

한은이 수거한 손상 화폐 중 3억9,300만원이 불에 탄 경우로 교환액의 42.9%를 차지했다. 습기 및 장판 밑 눌림 등으로 손상된 화폐는 3억4,800만원(38%)이었다. 기름 등에 오염되거나 칼질 등에 의해 조각난 경우는 각각 8,200만원(9.0%), 4,600만원(5.1%)이었다. 한은 관계자는 “화폐 보관 방법이 적절하지 않거나 취급상 부주의 등에 의해 손상된 경우가 전체의 74.2%에 달한다”며 “일부 국민의 화폐 사용 습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