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경찰에 맞선 흑인 여성이 보여준 용기, "압박 아래서의 우아함"

미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킨 사잔 한 장

해당 여성의 신원에 대해 알려진 바 없어

한 장의 사진이 경찰의 흑인 과잉진압에 저항하는시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 출처= 연합뉴스한 장의 사진이 경찰의 흑인 과잉진압에 저항하는시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 출처= 연합뉴스


미국 전역에서 흑인을 향한 경찰들의 과잉진압 항의시위가 번지고 있는 가운데, 시위현장에서 찍힌 한 장의 사진이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 9일(이하 현지 시각) 루이지애나 배턴 루지 경찰청 앞에서 시위대가 경찰에 의해 도로 바깥으로 해산된 직후 사진 한 장이 찍혔다. 사진 속에는 중무장한 경찰들이 일렬로 늘어서 있고 그 앞에 얇은 민소매 원피스 차림의 흑인 여성이 홀로 이들을 마주 보고 서 있다. 경찰 두 명이 여성을 제지하려는 듯 다급하게 다가가고 있다.


눈에 띄는 점은 사진 속 여성이 아스팔트 위에 두 발을 단단하게 디딘 채, 중무장한 경찰이 눈 앞으로 다가오는 데도 한치의 흐트러짐 없이 꼿꼿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점이다.

미 시사잡지 ‘더 애틀랜틱’에 따르면 이 사진을 찍은 로이터통신의 프리랜서 사진작가 조나단 바크먼은 “그녀는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저항하는 것처럼 보였다”면서 마치 ‘당신들이 와서 나를 잡아가야 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느껴졌다”고 설명했다.


사진 속 흑인 여성은 결국 체포됐지만 체포 과정에서 아무런 말도, 저항도 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이 사진은 현재 SNS(소셜네트워킹서비스)를 통해 빠르게 퍼지며 미국 사회에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영국 BBC방송은 이 사진에 대해 역사에 길이 남을 ‘전설적 사진’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인도계 영국인 소설가 하리 쿤즈루는 여성이 “압박 아래서의 우아함(Grace Under Pressure)”을 보여줬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이는 대문호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용기’를 규정하며 사용한 말이기도 하다.

해당 여성의 신원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상태다.

/이효정인턴기자 kacy951@sedaily.com

이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