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경찰, 내 피 빨아간 모기에서 DNA 채취…수사기법 도입

모기가 빨아 먹은 피에서 인간 유전자(DNA)를 채취해 분석하는 수사기법이 국내 최초로 과학수사에 도입된다.

경기북부지방경찰청은 과학수사계 소속 김영삼 검시관이 이 같은 내용의 연구논문 ‘흡혈 모기로부터 분리한 인간유전자형 분석’을 이달 초 열린 한국경찰과학수사학회에서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김 검시관은 “이번 연구 실험에서는 모기의 몸속에 들어있는 혈흔 물질에서 인체 유전자를 찾는 시도를 했다”면서 “흡혈 모기 6마리의 몸체로부터 얻은 혈액 성분을 통해 개인 프로필을 모두 확보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는 “흡혈 곤충인 모기는 피를 빨아들이는 순간부터 몸이 무거워져 현장에서 106.7m 내외에 존재하고, 170m 이상은 날아가지 않는다”면서 “이에 따라 범죄가 발생한 폐쇄된 현장에서 발견된 흡혈 모기는 용의자 추적의 충분한 증거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