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대형마트 납품업체 종업원 파견 확대된다

하반기 달라지는 유통분야 제도

'경력 1년 이상' 제한 사라져

과징금 부과기준에 실제 법위반금액 항목 신설

경품 2000만원 제한 규제 폐지

앞으로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아울렛 등 대규모 유통업체에 납품업에 종업원 파견이 더 쉬워진다. 현재는 경력 1년 이상만 가능한데 앞으로 이 규제가 폐지된다. 대규모 유통업체 과징금 부과기준에 실제 법 위반 금액 항목이 신설되어 과도한 과징금이 줄어든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2일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유통분야 제도를 소개했다.


대규모 유통업 법 위반 과징금 산정 시 그동안은 관련 납품대금에 부과기준율(20~60%)를 곱해 정했다. 예를 들어 100억 원 어치를 납품 받아 5억 원을 부당반품한 A사와 10억 원어치를 납품받아 모두 부당반품한 B사가 있을 경우 부당반품 비율은 B사가 더 높지만 과징금은 단순히 납품대금이 많은 A사가 10배 더 많다.

앞으로는 실제 법 위반금액비율을 반영하고 부과기준율의 폭을 30~70% 높이면서 가중요소를 확대했다.


모든 분쟁의 씨앗이 되고 법 위반 증거를 남기지 않는 수단인 서면미교부를 과징금 부과 대상에 추가했다. 아울러 법 위반 정도를 상, 중, 하로 평가해 과징금 부과기준율에 반영한다.

관련기사



공정위는 대형 유통업체에 파견할 수 있는 납품업체 종업원 기준에서 ‘1년 이상 경력자’ 규정을 없앴다.

상품구매자에게 추첨 등의 형식으로 제공하는 경품은 2,000만원 이하나 상품 예상 매출액의 3% 이하로 제한한 경품 고시도 폐지된다.

공정위는 “이번 제도 개선으로 유통업체 간 경쟁이 활성화 되고 과징금 집행의 합리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