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꽉 막힌 조선 RG 발급... 다급해진 주채권은행들

KEB하나, 시중銀 여신담당자 만나 RG참여 요청

‘조선 빅3’ 구조조정이 진행되는 가운데 민간 은행들이 대부분 조선사 신규 선수금환급보증(RG) 시장에서 발을 빼면서, 주채권은행들이 다급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현실적으로 주채권은행 혼자서 모든 RG를 떠안을 수는 없는 상황에서 민간 은행들이 보증을 회피하자 조선사의 신규 수주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의 주채권은행인 KEB하나은행은 이날 오후 하나은행 본점에서 시중은행 여신담당자들을 만나 현대중공업의 신규 RG에 참여해줄 것을 요청했다.


현재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50억 달러 한도에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가 RG를 발급해주기로 했으나,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은 시중은행들의 참여가 없이는 현실적으로 수주를 늘리기 어려운 상황이다.

관련기사



이날 하나은행 회의에서는 현대중공업의 경영진단을 실시한 삼일회계법인도 참석해 현대중공업 상황에 대한 브리핑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은행 고위 관계자는 “그동안 채권단에게 현대중공업 상황에 대해 제대로 설명을 하지 못한 부분이 있어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삼일회계법인은 현대중공업이 당초 구조조정 계획에서 밝힌 대로 분사를 통해 인건비 절감이 가능하며 유동자산이 풍부한 만큼 신규 수주만 이어진다면 구조조정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점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상적 수주에 대한 RG 발급까지 이뤄지지 않으면 구조조정 계획 자체가 틀어질 수 있는 만큼, 시중은행에도 지원을 요청한 것이다. 앞서 현대중공업은 지난 5월 말 SK E&S에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척을 수주했지만 주요 은행이 RG 발급을 한 달 가까이 거부해 수주가 무산될 뻔한 위기를 겪었다. 이와 더불어 성동조선해양 역시 지난달 초 그리스 선사로부터 정유 운반선 4척을 수주한 후 채권단에 RG 발급을 신청했지만, 지금까지 보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주채권은행의 이 같은 다급한 호소에도 불구, 시중은행들은 개별 은행별로 닥친 상황이 녹록지 않아 신규 RG 발급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민영화 이슈에 노출돼있고, 농협은행의 경우 사실상 적자 위기라 신규 RG발급 자체가 어렵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은 우리은행과 농협은행이 참여하지 않는 상황에서 이들 은행 또한 RG 리스크를 과도하게 높이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미확정 리스크인 RG 규모는 일반 대출보다도 되려 주가에 영향을 주고 있어 시중은행들 입장에서 신규 발급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