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LG유플, 개방형 SDN 구축 성공

네트워크 상 모든 장비 통합 제어, 관리 가능해져

IoT, 클라우드 활용 늘면서 편의성 높일 듯

LG유플 "WAN,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등에 SDN 효율성 높일 것"

소프트웨어 하나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장비를 한 번에 제어해 자동화된 네트워크 운영을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LG유플러스는 노키아와 손을 잡고 이 같은 내용의 개방형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 defined Networking)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면서 기업 전산망에 다양한 종류의 장비가 늘어나는 만큼 이를 통합적으로 제어, 관리하는 데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SDN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장비 또는 기능을 하나의 통합 소프트웨어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 네트워크 운영에 편의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SDN은 체계적인 네트워크 중앙 집중관리, 클라우드 환경의 네트워크 자동화를 가능하게 해 저비용 고효율의 미래 네트워크 기술로 꼽히고 있다. 또 사람이 개입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사고 가능성이 낮아져 안정적으로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관련기사



동시에 네트워크 구성이 단순해져 클릭만으로 신규 서비스를 빠르게 적용하거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등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앞으로 대용량 트래픽 처리가 필요한 원거리통신망(WAN)이나 서버가 많은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되는 네트워크 등 운영하는 네트워크의 목적에 따라 SDN의 효율성을 높여갈 방침이다.

강정호 LG유플러스 네트워크기술부문장은 “노키아와 함께 대용량 SDN을 구축함으로써 네트워크 자동화 기반을 마련했다”며 “사물인터넷, 5세대 이동통신(5G) 시대를 앞당기는 네트워크 기술 개발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가 노키아와 손을 잡고 소프트웨어 하나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장비를 한 번에 제어해 자동화된 네트워크 운영을 할 수 있는 개방형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 defined Networking)을 구축한 가운데 LG유플러스 직원들이 SDN의 네트워크 자동화 운영을 테스트하고 있다. /사진제공=LG유플러스LG유플러스가 노키아와 손을 잡고 소프트웨어 하나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장비를 한 번에 제어해 자동화된 네트워크 운영을 할 수 있는 개방형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 defined Networking)을 구축한 가운데 LG유플러스 직원들이 SDN의 네트워크 자동화 운영을 테스트하고 있다. /사진제공=LG유플러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