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청년 실업률 6월 10.3%…IMF 이후 최고

조선 구조조정 직격탄 경남 실업률은 3.9%로 1%P↑

제조업 취업자 수도 4년來 최저







청년실업률이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을 받은 1999년 이후 1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조선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서 경남 지역 실업률도 17년 만에 가장 높았으며 제조업 취업자 수도 4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고용시장이 전방위 경고음을 내고 있다.

13일 통계청의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15~29세) 실업률은 10.3%로 6월 기준 지난 1999년(11.3%) 이후 가장 높았다. 청년실업률은 2월부터 4개월 연속 동월 기준 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올해 들어서 1월(9.5%)과 5월(9.7%)을 제외하고 4개월 동안 두자릿수를 나타내 두자릿수 청년실업률이 만성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 조선소가 집중된 경남 실업률은 3.9%로 1년 전보다 1%포인트 급등했다. 증감률은 전국 16개 시도 중 가장 높았다. 6월 기준으로는 1999년(5.0%) 이후 최고치다. 현대중공업이 위치한 울산 실업률도 3.6%로 지난해보다 0.4%포인트 올랐다. 6월 기준 2010년(3.7%)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다. 역시 현대중공업이 있는 전북도 2.3%를 나타내 0.9%포인트나 급등했다.

관련기사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제조업 취업자 수도 급속히 둔화했다. 6월 제조업 취업자는 449만3,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만5,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6월 기준 2012년(5만1,000명 감소) 이후 4년 만에 가장 저조한 실적이다. 제조업 취업자 증감률은 1월 14만5,000명, 2월 10만8,000명, 3월 12만4,000명을 기록하더니 4월 4만8,000명, 5월 5만명 등 급감하고 있다.

전체 취업자 증감 폭은 30만명대를 회복했다. 6월 취업자 수는 2,655만9,000명으로 지난해보다 35만4,000명 늘었다. 4월과 5월 20만명대에 그쳤지만 3개월 만에 30만명대로 돌아왔다. 다만 이는 지난해 6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으로 고용시장이 위축된 기저효과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