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내 하천 7곳 생태하천으로 ‘탈바꿈‘

수질개선, 생태계회복 등 성과 나타나

경기도 내 하천 7곳이 생태하천으로 탈바꿈 한다.

도는 올해 1,463억원을 투입, 15개 시·군 25개 하천(125km)에 생태하천복원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올해 생태하천으로 거듭나는 도내 하천은 부천 심곡천, 남양주 왕숙천, 화성 발안천, 양주 덕계천, 안성 청미천, 포천 포천천(2), 오산 오산천 등 7곳이다.


도에 따르면 생태하천복원사업을 마친 하천에서 수질 개선, 생태계 회복 등 좋은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관련기사



도는 생태복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업 준공 후 약 5년 간 생물종류와 개체 수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모니터링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완공된 남양주 묵현천 등 11개 하천의 평균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는 준공 전 6.9ppm(mg/ℓ)에서 3.5ppm으로 개선됐다. 6ppm 이상은 어류가 살기 어려운 4급수이며, 3.5ppm은 잉어, 붕어, 미꾸라지 등이 서식할 수 있는 3급수 중에서도 깨끗한 수준이다.

또 지난 2012년에 생태하천복원사업을 마친 용인시 경안천에는 멸종위기종인 수달과 흰목물떼새가, 2013년 사업을 완료한 안성시 금석천에는 천연기념물인 원앙의 서식이 확인되는 등 생태 복원이 이뤄지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2019년까지 11개 시·군 19개 하천에 약 1,887억 원을 추가 투입해 하천 생태계 복원 및 수질개선에 기여하고, 경기도의 성공적인 사업들이 타 지역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전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수원=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