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도 스컹크를 가까이 두고 관찰하길 원치 않겠지만 전문가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이 방귀대장의 생태를 연구해왔다. 미국 훔볼트주립대 아르카타 캠퍼스의 화학자 윌리엄 우드 박사도 그중 한 명으로 스컹크 분비물의 화학적 특성을 연구했다.
우드 박사에 따르면 스컹크가 방어를 위해 내뿜는 액체 분비물에서 지독한 냄새를 만들어내는 주범은 ‘티올(thiol)’이라는 황(S)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은 무색, 무취인 천연가스나 프로판가스가 누출됐을 때 그 사실을 사람들이 냄새로 인지할 수 있도록 일부러 첨가하는 취기제(臭氣劑)의 냄새와 유사하다. 취기제 역시 황이 주요 성분이기 때문이다.
“취기제에서도 알 수 있듯 인간의 코는 황 화합물 냄새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한편 자칭 스컹크 명예회복 연구소를 운영 중인 미국 뉴멕시코대학 생물학 교수 제리 드라구 박사는 스컹크가 다른 스컹크의 분비물을 얼굴에 맞는다면 개와 유사한 반응을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순간 놀라면서 얼굴을 바닥에 문질러 닦아내려 애를 쓸 겁니다. 만일 눈이나 코의 점막에 분비물이 닿았다면 타는 듯한 고통까지 느끼게 됩니다.”
그러나 오직 냄새에만 국한하면 얘기가 조금 달라진다. 물론 스컹크의 코는 많은 동물들이 그렇듯 인간보다 민감하다. 공기의 냄새로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후각에 의지해 먹이를 찾는다.
하지만 드라구 박사는 이들이 자신의 분비물 냄새에는 익숙해졌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인간을 포함한 다른 종(種)만큼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라 본다.
“한번은 분비물을 내뿜은 직후 밀폐형 덫에 갇힌 스컹크들을 본 적이 있어요. 냄새가 시쳇말로 장난이 아니었지만 정작 그 녀석들은 아무 반응이 없더군요.”
우드 박사는 이를 ‘후각 피로(olfactory fatigue)’의 결과로 풀이한다. 후각 피로는 특정 냄새에 오랜 기간 혹은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그 냄새에 둔감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고농도의 화합물은 콧속의 후각 수용기(olfactory receptor)가 재설정되는 것을 막아 후각 정보가 뇌로 전달되지 않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때문에 어느 시점부터는 그 냄새를 감지하기 어렵게 되죠. 아무리 지독한 냄새라도 말이에요.”
서울경제 파퓰러사이언스 편집부/answers by Daniel Eng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