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부동산 시장 뒤집어보기] '돈 먹는 하마' 돼버린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

소규모 단지선 관리부 부담커

사용자 부담 변경에 갈등 커

시설운용 수천만원대 적자도





# 지난해 입주한 서울 용산구 A단지. 수영장과 사우나·골프장 등 커뮤니티 시설을 잘 갖춘 덕분에 분양 당시부터 인기를 끈 곳이다. 하지만 입주 이후에는 크고 화려하게 지어놓은 커뮤니티 시설이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단지 규모가 500가구도 되지 않아 입주민들이 부담해야 하는 관리비 액수가 너무 컸던 탓이다. 수영장에서 발생한 누적 적자만 올해 초 3,000만원이 넘어설 정도였다. 결국 공동 부담하던 커뮤니티 시설 이용료를 사용자 부담으로 일부 변경했고 이 과정에서 입주민 간의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아파트 부대시설이 고급화·대형화되는 가운데 지나친 관리비 부담으로 커뮤니티 센터를 축소 운영하거나 폐쇄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파트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단지 규모를 고려하지 않은 채 커뮤니티 시설을 넣은 것이 주된 이유다.


이 같은 사례는 또 있다. 서울 강남구 B단지의 경우 하루 2회까지 무료로 이용 가능했던 수영장과 사우나를 올해 들어 월 1회 무료 이용으로 변경했다. 이 과정에서 입주민들 간 내부 갈등이 극에 달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규모가 작은 단지의 경우 가구당 부담해야 할 금액이 커지면서 입주자대표회의를 거쳐 사용자 부담 방식으로 변경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통상 공동으로 부담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늘어나는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고준석 신한은행 PWM프리빌리지 서울센터장은 “사실 1,000가구 미만의 단지에서 대형 커뮤니티 시설을 제대로 운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며 “센터 운영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결과적으로 아파트의 가치 하락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장세준 타워피엠씨 대표도 “전문 업체에 관리 운영을 맡기거나 센터 프로그램 개선 등을 통해 시설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