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미래에셋은퇴연구소 "DB형 퇴직연금, 원리금보장형 의존 벗어나야… 해외투자도 고려 필요"

확정급여형(DB형) 퇴직연금을 성공적으로 운용하려면 원리금보장형 상품 위주 투자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해외자산 투자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19일 ‘연금부채를 연계한 DB형 퇴직연금 자산배분전략’ 보고서를 통해 DB형 퇴직연금의 성공적 운용을 위한 두 가지 원칙과 세 가지 행동계획을 제시하며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우선 △연금부채와 연금자산의 변동성을 감안한 자산배분 △적절한 수익성을 고려한 배분을 원칙으로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제안한 행동계획은 △원리금보장형 상품 위주 투자에서 벗어날 것 △연금부채와 상관관계 높은 자산군에도 투자할 것 △해외자산 투자를 고려할 것이다.


배상현 수석연구원은 “DB형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기업들이 원리금보장형 상품만으로는 연금부채의 증가와 변동성을 커버할 수 없다”며 “해외자산은 장기적으로 변동성이 적고 수익률도 제고하는 차원에서 투자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연금부채와 움직임이 가장 유사한 자산군을 개발해 변동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배 수석연구원은 국내채권, 해외주식, 해외대체투자, 해외채권 순으로 연금자산과 변동성의 폭·방향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DB형 퇴직연금을 도입한 기업의 연금부채는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과 초저금리 기조로 인해 급속히 증가했다. 하지만 기업들은 적립금의 96%를 원리금보장형 상품에 투자하고 있어 부담금 납입 규모가 늘어나는 상황이다. 연구소는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KOSPI 200지수에 편입된 기업의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퇴직금 지급을 위한 연금부채는 15조원 늘었고, 누적부담금은 총 23조원(연평균 26.8%)으로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또 연금부채 대비 연금자산으로 적립해야 하는 법정최소적립비율도 올해 70%에서 80%로 상향되어 기업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실제 2014년 해당 비율이 60%에서 70%로 늘어났을 때 기업 부담금은 3조8,000억원에서 8조2,000억원으로 급증했다.

김경록 미래에셋은퇴연구소장은 “현행 DB형 퇴직연금은 원리금보장형 상품에 집중되어 연금부채의 변동성을 헤지하거나 추가수익을 기대하기 힘들다”며 “인식을 전환해 연금부채를 연계한 투자를 활용, 퇴직연금 적립금의 자산배분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