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BPA, ‘글로벌 신물류체계에 따른 부산항 대응방안’ 세미나 개최

국제해운항만물류의 환경변화가 부산항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주제

부산항 비상경영체제 돌입, 후속조치 추진

부산항만공사(BPA)는 19일 오후 BPA 회의실에서 수에즈운하와 파나마운하의 확장 개통이 부산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여러 가지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세미나는 최근 부산항만공사가 부산항 물동량 감소라는 위기를 관리하기 위해 돌입한 비상경영체제의 하나로 추진됐다.


세미나에서는 총 5명의 발표자가 나선다.

첫 번째 발표자인 전형진 KMI 해운시장분석센터장은 수에즈ㆍ파나마 운하 확장과 관련해 최근 세계 물류동향을 소개하고 이어 현대상선 및 머스크 운항팀장이 수에즈ㆍ파나마 운하의 확장에 따른 각 사의 선대운용 전략을 발표한다.


연근해 선사인 고려해운에서도 수에즈ㆍ파나마 운하의 확장으로 예상되는 캐스캐이딩(Cascading·대형선 투입에 따른 선박의 역내항로 전환배치) 현상에 따른 자사 대응전략을 소개한다.

관련기사



마지막 발표자인 한진해운신항만터미널에서는 터미널운영사 입장에서 수에즈ㆍ파나마 운하의 확장이 부산항에 미치는 영향을 짚어볼 예정이다.

박호철 BPA 조사분석실장은 “앞으로도 중대한 글로벌 물류 트렌드 변화가 있을 경우 외부 전문가 및 현장의 의견을 청취해 부산항의 정책대응방안을 점검하고 부산항만공사와 학계, 선사, 운영사 등이 공동으로 부산항의 구체적인 경쟁력 강화방안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 할 것”이라 말했다.

한편 지난 8일 BPA는 급변하는 해운항만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비상경영체제 돌입을 선언하고 위기와 변화를 관리하기 위하여 조직개편 및 인사를 단행한 바 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