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삼성重 1조6,000억 부족 증자로 해결"

[회계법인, 경영진단 결과 설명회]

계약변경 등 추가손실 위험 미미

선박건조 대금 등으로 해결 가능





삼성중공업에 대한 경영진단 결과 1조4,500억원의 자구안 외에 향후 5년 간 최대 1조6,000억원이 추가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족자금은 지급이 예정된 선박 건조 대금과 유상증자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회계법인은 내다봤다.


삼성중공업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19일 오후 여의도 본점에서 삼정KPMG에 의뢰해 2개월간 진행한 경영진단 결과의 채권단 설명회를 열었다. 삼정KPMG는 19개 채권은행 실무자들에게 이 같은 내용을 설명했다.

삼정KPMG는 삼성중공업의 수주계획과 드릴십 인도계획 등에 추가로 차질이 발생하는 경우까지 가정해 삼성중공업의 부족자금 규모 등을 3가지 시나리오별로 추정했다. 추정 결과 부족자금 규모는 향후 5년간 8,000억~1조6,000억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부족자금을 최대 1조6,000억원으로 가정할 때 이 중 4,900억원은 부유식 원유생산설비(FPSO)지급 대금을 통해 해결하고 1,800억원은 이미 선주와 합의했으나 아직 반영하지 않은 인센티브로 보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금액이 6,700억원인 것을 고려하면 추가 부족자금은 9,000억원 안팎으로 유상증자 필요성을 열어놨다. 삼정KPMG는 “부족자금 규모는 유동적일 수 있지만 이는 유상증자를 통해 해결할 계획”이라고 명시했다. 업계와 금융권은 삼성중공업에 1조원 안팎의 유상증자가 이뤄지리라고 예상하고 있다.

관련기사



또 삼정KPMG는 삼성중공업의 공사 지연에 따른 지체상환금(L/D), 계약변경(C/O), 실행예산, 신규 수주 전망, 자구계획 등을 검토해 향후 손익 전망과 부족자금 규모 등을 산출했다. 경영진단 결과 우선 지체상환금이나 계약변경, 실행예산 증가 등에 따른 위험은 미미해 향후 삼성중공업의 생존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중공업의 자구계획에 대해 삼정KPMG는 “유형자산 매각 등을 통해 약 5,000억원을 확보하고 인건비 절감, 급여반납, 복지축소 등을 통해 약 1조5,000억원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현실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채권단은 삼성중공업의 부족자금은 유상증자 등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삼성중공업의 유상증자 필요성은 이미 시장에서 예상했던 내용”이라며 “시장에서는 일반주 공모 방식으로 가되 혹시 부족분에 대해서는 삼성그룹이 책임지는 구도로 가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삼성중공업은 지난달 초 산업은행에 1조4,551억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제출한 바 있다.

김보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