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감미료 '알룰로스' 비만 개선 효과 입증

경북대 최명숙 교수 연구팀

알룰로스(싸이코스) 보충이 소장, 간, 지방세포의 지질대사의 미치는 영향/사진제공=미래창조과학부알룰로스(싸이코스) 보충이 소장, 간, 지방세포의 지질대사의 미치는 영향/사진제공=미래창조과학부




최명숙 경북대 식품영양학과 교수최명숙 경북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맛있는 음식은 살이 찌지 않는다”

설탕의 70% 단맛을 가지면서도 칼로리가 거의 없는 ‘알룰로스’가 비만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20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최명숙 경북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전분으로부터 얻은 대체 감미료 알룰로스가 체중 및 체지방을 효과적으로 줄여 비만을 개선하는 항비만 기전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최근 설탕 및 단순당의 섭취가 비만유도를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현대인들은 설탕의 섭취를 기피하고 단맛은 있으나 칼로리가 설탕보다 적은 대체 감미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알룰로스는 제2형 당뇨병 개선효과와 섭취 칼로리 절감에 의한 항비만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칼로리 절감기능을 배제한 알룰로스의 순수한 항비만 기능성은 규명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연구진은 페어피딩을 통해 식이비만 유도 실험쥐에서 알룰로스의 칼로리 절감효과를 배제한 항비만 작용 유무 여부를 검정했다.

관련기사



연구 결과 사료와 함께 알룰로스를 먹은 쥐(비만 쥐)는 체중과 체지방량이 모두 줄었다. 16주가 지난 뒤 알룰로스를 먹은 쥐는 다른 쥐보다 체중이 25% 정도 줄었고 전체 지방량은 약 6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쥐의 체중과 체지방이 줄어든 이유에 대해 연구진은 알룰로스가 소장세포에서 특정 유전자(PPARα)의 발현을 감소시켜 지방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은 지방은 쥐의 분변으로 배설된다. 이밖에 알룰로스가 지방의 합성을 감소시키고 산화를 증진시키는 것도 연구 결과 확인됐다.

최 교수는 “알룰로스는 소장 내 지방 흡수를 방해하는 작용으로 지방의 배설량은 크게 증가시키고 체지방 산화작용도 도와줌으로써 체중과 체지방 감량 효능을 동시에 나타내는 차세대 기능성 대체감미료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 기초연구지원사업(집단연구)과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연구를 수행됐으며, 이번 성과는 몰레큘러 뉴트리션 앤드 푸드 리서치(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에 7월 9일자로 게재됐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