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가방 등 소비재 공동브랜드 도입해야"

[조합이사장에게 듣는다] <4>김권기 가방조합 이사장

15개 생활품목 통합브랜드로 디자인·마케팅 등 공동 진행

"IT접목 패션가방 시대 대비를"…가방名家 재건 동분서주

김권기 가방조합 이사장이 20일 서울 중구에 있는 조합 사무실에서 공동브랜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서정명기자김권기 가방조합 이사장이 20일 서울 중구에 있는 조합 사무실에서 공동브랜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서정명기자





많은 사람들이 한국 가방산업이 위기에 처했다고 말한다. 가방산업 전성기였던 1970년대 중반만해도 수출 10위권 효자상품이었지만 지금은 글로벌 브랜드를 앞세운 해외명품과 중국산 저가제품에 협공을 당하면서 ‘가방 대국’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가방조합 회원사의 경우 한때 100곳을 넘었지만 지금은 24개 업체로 쪼그라들었다. 이 같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 가방 명가(名家) 재건을 위해 동분서주하는 사람이 김권기 가방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이다.

그는 20일 서울경제신문 취재진과 인터뷰에서 공동 브랜드 얘기부터 꺼냈다. 김 이사장은 “완구·문구·시계·안경·주얼리 등 생활산업 15개 품목을 아울러 공동으로 디자인과 상품개발, 마케팅, 전시회, 간접광고(PPL) 등을 전개하고 궁극적으로 공동브랜드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소기업중앙회 산하 생활용품산업위원회 위원과 지난달 출범한 지식재산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 이사장은 “축산물, 농산물 등 국내에서도 공동브랜드가 도입되고 있지만 특정 지역과 품목에 국한돼 있다”며 “해외에서는 다양한 소비재 산업에 대한 공동 브랜드를 개발해 마케팅에 적용하고 있는데 우리도 이 같은 시도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 생활산업 업계가 힘을 모아 미국 감귤류 브랜드 ‘썬키스트’나 뉴질랜드 과일 브랜드 ‘제스프리’ 등과 같은 공동브랜드를 마련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가방이 사양산업이 아니라 정보통신(IT)기능을 덧보태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재탄생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김 이사장은 “세계 가방 물동량의 20% 이상이 한국인의 손을 거쳐 만들어질 정도로 한국인들의 기술력은 인정을 받고 있다”며 “샤넬과 버버리, 에르메스 등 해외 명품들이 시장을 잠식해오고 있지만 앞으로는 IT기술과 아이디어를 접목한 패션가방의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국민소득이 3만달러를 넘어서면 소비자들이 명품을 충동 구매하기보다는 디자인과 기능이 뛰어나고 개성이 독특한 제품을 선호하게 된다는 것이다.

세계적인 가구회사 이케아가 한국에 진출할 때 국내 가구업체들이 고사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국내 업체들이 인테리어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면서 생존방안을 마련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국내 가방업체들은 크게 3가지 루트를 통해 판로를 뚫고 있다.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방식으로 원청 업체에 납품을 하거나 방위사업청 등 공공조달시장에 참여하거나 자기브랜드로 직접 소비자를 겨냥하고 있다.

가방조합은 조합추천 소액 수의계약 제도를 살려 영세업체들을 지원해야 한다고 정부에 요청하고 있다. 5,000만원 이하의 소액 수의계약 제도를 의무규정으로 변경하면 소기업이나 영세업체의 생존에 적잖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이사장은 정부의 가방산업 육성정책에도 협업과 융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소비재 공동브랜드 도입을 위해서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기업청, 디자인진흥원, 중기중앙회, 대학 등이 긴밀하게 협업체계를 구축해야 하고 글로벌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 플랜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