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화이트닝?'…미국서 유통되는 한국 화장품 인종차별 지적

코트라 보고서, "인종차별 소지 있다"

미국에서 유통되는 우리나라 화장품 제품의 설명에 인종차별 논란을 일으킬 수 있는 표현이 담겨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출처=이미지투데이미국에서 유통되는 우리나라 화장품 제품의 설명에 인종차별 논란을 일으킬 수 있는 표현이 담겨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출처=이미지투데이


미국에서 유통되는 우리나라 화장품 제품의 설명에 인종차별 논란을 일으킬 수 있는 표현이 담겨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21일 공개한 ‘미국 내 K-Beauty 확산 성공키워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화장품 제품 설명에 잘못된 영문 번역과 부적절한 단어가 많아 제품에 대한 호감도가 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미백 제품에 쓰이는 ‘화이트닝(whitening)‘이라는 표현은 소비자가 백인 우월주의로 받아들일 수 있어 ’브라이트닝(brightening)’이라는 표현으로 수정해야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또 보고서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규정을 기준을 준수하지 않아 화장품 수출이 무산되거나 지연되는 경우도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우리나라가 미국 화장품 시장에서 밀레니얼세대(1980~2000년 출생 계층)와 아시아계 미국인을 공략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특히 아시아계 미국인은 한국 화장품에 대한 호감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인구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소비력이 증대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은 2,515억원 어치의 화장품(스킨케어·색조화장 기준)을 미국에 수출했다.

/김영준인턴기자 gogundam@sedaily.com

김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