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은행원 동일 직급이라도 연봉은 성과따라 40% 차이

<시중은행 성과연봉제 가이드라인>

성과급, 연봉의 20~30%로 늘려

평가등급 따라 기본급 차등 인상

피평가자에 결과 공개·중간점검

시중은행 임금체계의 근간이 되던 호봉제가 폐지되고 성과연봉제가 전면 도입된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에서는 동일 직급이라도 성과에 따라 연봉을 최대 40%까지 더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국은행연합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시중은행 성과연봉제 가이드라인’을 21일 발표했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14개 민간 은행과 외부 전문기관의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마련됐다.

이번 가이드라인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시중은행 부점장 이상 관리자급의 경우 같은 직급끼리 연봉 차이를 최저 30%, 책임자급 이하는 20% 이상으로 확대한 뒤 향후에는 이를 40%까지 늘리기로 한 부분이다.


기본급의 경우 개인별 인상률은 전년도 평가 등급에 따라 산정되며 관리자는 평균 3%포인트 이상을, 일반직원은 최소 1%포인트 이상 차등하기로 했다. 성과급의 경우 연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부점장급은 30% 이상, 책임자급은 20%로 각각 확대되며 평가에 따라 성과급 차등 폭을 최소 2배 이상으로 설정했다. 지금까지 은행권은 집단성과급 방식으로 성과급을 지급해왔으며 총연봉 대비 성과급 비중은 평균 15% 수준이었다.

관련기사



개인성과 평가를 보상과 연계하기 위해 평가등급 산출 관리도 강화한다. 평가등급 수는 5개 이상으로 하며 등급별 인원 비율은 평가대상자의 최소 5% 이상이 되도록 구성했다.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결과는 피평가자에게 공개하도록 했으며 중간점검 및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 면담을 의무화하도록 했다. 또 집단평가 비중이 8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등 개인별 성과 측정에 따른 연봉 차등화가 이뤄지도록 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호봉제와 형식적 연봉제 등 연공 중심의 보상관리를 탈피하고 직무와 성과에 기반한 성과주의 문화 확산이 필요하다”며 “민간 은행은 이번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구체적인 적용방안을 마련해 성과연봉제 도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민간은행에서 성과연봉제가 실제 도입되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금융노조가 지난 19일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파업 찬반투표에서 투표자의 95.7%에 찬성표를 던지는 등 성과연봉제 도입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압도적이기 때문이다. 금융노조는 이 같은 기세를 몰아 오는 9월 중 총파업에 돌입해 성과연봉제를 반드시 저지하겠다는 방침이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