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한과 외길 35년...미쳐야 성공하죠"

7월 '이달의 기능 한국인'에 김규흔 신궁전통한과 대표

한과에 미친 35년 외길 인생 김규흔 신궁전통한과 대표.한과에 미친 35년 외길 인생 김규흔 신궁전통한과 대표.


“‘미치지(狂)’ 않으면 ‘미치지(及)’ 못합니다.”

한과에 미쳐 35년 외길 인생을 보낸 김규흔(60·사진) 신궁전통한과 대표가 7월 ‘이달의 기능 한국인’으로 선정됐다.

‘불광불급(不狂不及)’은 그의 지론이며 후배 기술인들에게 즐겨 쓰는 말이다.


대한민국명장인 그는 지난 1981년 한 제과 공장의 15평 공간을 빌려 ‘신궁제과’라는 브랜드로 출발했으며 ‘남과 같이 해서는 남 이상이 될 수 없다’는 신념으로 끊임없이 신제품과 기술을 개발했다.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 한과류 협력업체로 지정된 것을 계기로 외국인 입맛에 맞는 한과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세계인이 좋아하는 재료인 초콜릿을 활용하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자가 될 것으로 보고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초코한과’를 개발했다. 키토산 유과, 모자이크 깨강정, 금귤 정과, 녹차 약과, 인삼 유과, 단호박 약과 등 지금까지 170여종의 기능성 한과를 개발했다.

관련기사



그는 “내일이 약과를 만드는 날이라고 하면 제작 노트 3년 치를 꺼내서 확인한다”며 “약과를 만들 때 온도와 습도가 어땠는지, 어떤 레시피로 만들었는지, 맛은 어땠는지 등 3년 치 기록을 하나하나 비교하며 내일 날씨를 감안해 레시피를 조정한다”고 말했다.

2000년에는 한과 업계 최초의 벤처기업으로 선정됐다. 2001년에는 농림부 신지식농업인상, 2003년에는 석탑산업훈장을 받았다.

김 대표는 한과를 널리 알리고 세계적인 식품으로 만들기 위해 2008년 30억원을 투자해 경기도 포천시에 한과문화박물관과 교육관을 개관했다.

그는 “쌀 한 가마니의 양은 400만톨이고 유과 한 개에는 쌀 22톨이 사용된다는 것 등 세밀한 부분까지 연구할 정도로 미쳐야 한다”며 “어떤 일을 하든지 열정을 갖고 전문성과 기술력으로 승부 하면 반드시 성공이 따라올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