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016년 추경예산안]누리과정이 추경 통과 관건

정부, "필요한 수요 이상으로 추경에 담아"

야당, "근본 해결위해 교부율 1% 올려야"

여당, 추경 통과 위해 구조조정 청문회 합의

11조 원의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제때 국회를 통과하려면 누리 과정 논란을 푸는 게 관건이다. 정부는 누리과정에 필요한 금액보다 많은 예산을 추경에 담았지만 야당은 근본 해결을 위해 중앙정부가 지방 교육정부에 내려보내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교부율(20.27%)을 1%포인트 올려야 추경을 심사하겠다고 맞섰다. 사이에 낀 여당은 원래 여야가 합의한 대로 8월 12일 국회 본회의에서 추경을 통과 시키기 위해 야당의 요구를 받아들여 구조조정 청문회 개최에 합의했다.

송언석 기획재정부 2차관은 22일 “이번 추경에서 1조9,000억원의 지방교육금이 지출될 계획”이라며 “지방 교육청에서 (누리과정 재원으로)부족하다고 하는 것보다 더 많은 예산을 보전했다”고 말했다.

감사원에 따르면 올해 부족한 누리과정 재원은 1조 1,000억 원이어서 약 8,000억 원 이상 넉넉하게 예산을 배분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누리과정은 만 3~5세 유아에게 정부가 무상으로 제공하는 교육 복지다. 각 교육청은 자체재원과 정부예산으로 유치권 교육비와 방과 후 과정 교육비를 유아 일인 당 월 5만~22만 원 씩 지급한다. 하지만 일부 교육청은 자체 재원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누리과정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고 정부는 교육청의 예산에서 강제로 누리 과정에 할당하는 법 개정을 추진하면서 마찰이 끊이지 않았다.

관련기사



그러나 더불어 민주당은 정부가 꼼수를 부리고 있다면서 26일까지 교육교부금 비율 인상 방안을 가져오라고 촉구했다. 박완주 더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어 “교부율 1%포인트를 올려서 약 2조 원 정도를 누리과정 예산으로 확보하자고 요구했으나 정부는 못하겠다는 입장”이라면서 “정부가 내세운 1조 9,000억 원은 (누리과정으로 한정하지 않은)지방교육재정 중 그 만큼을 누리과정에 편성할 수 있다는 것으로 내년 예산을 당겨쓴 편법”이라고 비판했다.

야당은 그 밖에 정부의 추경 예산 가운에 박물관과 도서관 관련 일자리 예산은 아르바이트에 불과하다면서 소방관, 경찰, 교육공무원 등 안정적인 일자리 예산으로 바꿔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은 추경에 들어 있는 구조조정 관련 예산을 검증한다는 명분으로 야당과 구조조정 청문회를 여는 것에 합의했다. 청문회 대상에 야당 요구대로 서별관회의를 포함 시킬 지 논란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추경 통과를 위해 여당이 한 발 물러선 셈이다.

역대 국회의 추경 심의 사례를 보면 태풍 등 당장 시급한 민생 현안이 있을 때는 3일 만에 통과되기도 했으나 2000년 대 후반 이후 불황국면을 대처하기 위해 추경을 편성하는 사례가 늘면서 2008년에는 정쟁과 맞물려 91일이나 걸리는 등 심의가 늦어지기도 했다. /임세원 구경우 박형윤기자 why@sedaily.com

=세종=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