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자율주행차 시장 선점"...日, EU와 손잡았다

전세계 신호 커버 가능

EU GPS위성 공동 사용

글로벌시장 공략 길 열려

일본 정부가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 선점을 위해 오는 2018년부터 유럽연합(EU)과 위치확인 시스템(GPS) 위성을 공동 사용할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4일 보도했다.

유럽의 GPS 위성이 보내는 전 세계 위치정보를 이용 가능하면 일본 기업들은 국내 시장을 겨냥해 개발한 자율주행차와 관련 부품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수 있게 된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와 유럽위원회(EC)는 최근 일본의 GPS 위성인 ‘준텐초’와 EU ‘갈릴레오’ 위성이 발신하는 정보 신호를 일원화하기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통합 시스템 개발 논의에 착수했다. 협의체에는 일본 미쓰비시전기와 히타치조선·NTT데이터, 프랑스의 방위·전자업체인 탈레스 등이 참가해 올해 안에 구체적인 개발일정을 작성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GPS는 군사적 이유로 각국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지만 일본과 EU는 성장 가능성이 큰 자율주행차 시장 개척을 위해 시스템을 공유하기로 한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의 GPS 위성인 준텐초의 경우 위치측정 정보의 오차를 ㎝ 단위로 줄인 정확성을 자랑하지만 신호를 받을 수 있는 곳이 일본과 호주, 아시아 일부 지역으로 국한된다는 한계를 안고 있어 자율주행차의 글로벌 진출에 제약이 된다. 반면 EU의 갈릴레오는 오차가 1m 단위로 크고 산악지대나 초고층건물이 많은 지역에서는 사용하기 어렵지만 30개 위성이 전 세계를 커버하는 강점이 있다. 일본의 자율주행차로 유럽이나 아프리카 등 세계 각지에 진출하려면 광범위한 지역을 아우르는 갈릴레오 위성을 이용하는 것이 이점이 크다. 신문에 따르면 2030년에는 자율주행 시스템 관련 사업이 연간 7조엔(약 75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문은 위성이 보내는 위치정보로 자동차 주행을 제어하는 일본이나 EU의 방식과 달리 미국 구글 등은 차량탑재 센서로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만큼 일본·EU 연합이 위성 방식으로 자율주행차 시장의 조기선점을 노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