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IMF,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 3%로 상향

3개월만에 이례적 0.1%P 올려

추경 편성 등 확장적 정책 반영

2515A08 IMF2515A08 IMF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을 0.1%포인트 올려 3%로 전망했다.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로 세계 경제 성장률 둔화가 점쳐지는 가운데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올린 것은 이례적이다.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편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근 IMF는 세계 경제 동향에 대한 보고서에서 내년 한국 성장률을 3%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4월 전망치에서 0.1%포인트 상향한 것이다. 다만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7%로 유지했다. IMF가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수정한 것은 2014년 10월 이후 1년9개월 만이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추경안 등 확장적 거시정책의 영향이 반영된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보고서는 IMF가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 시 세계 경제 진단을 위해 작성한 것이다. 다만 이 전망치가 확정되는 것은 아니다. IMF는 4월과 10월 연 두 차례 세계 경제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때 한국의 공식 성장률 전망치도 발표한다. 앞으로 경제에 충격이 있다면 10월 전망치가 다시 하향될 수 있다.

관련기사



한국의 성장률 전망 상향 조정은 다른 나라와 견줘도 이례적이다. IMF는 미국의 성장률 전망을 올해 2.2%, 내년 2.5%로 제시했다. 내년 수치는 3개월 전 전망치 대비 변동이 없었지만 올해 수치는 0.2%포인트 내려갔다. 영국은 브렉시트에 따른 내수 부진과 불확실성 심화에 따라 올해와 내년 각각 1.7%, 1.3%로 예상됐다. 무려 0.2%포인트, 0.9%포인트씩 낮춰졌다.

IMF는 보고서를 통해 “금융위기 전후 부채가 늘어나고 만성적인 투자 부진, 노동생산성 저하로 잠재성장률이 떨어지면서 세계 경제 회복의 걸림돌이 생겼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소득분배의 불평등도가 커지면서 단기적으론 글로벌 수요가 위축되고 장기적으로는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정치세력에 대한 지지도를 떨어뜨려 구조개혁이 지연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IMF는 선진국에 대해서는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하면서 성장 친화적 재정정책을 강화해 총수요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신흥국을 향해서는 “경제 경착륙, 자본 유출 등 부정적 외부충격에 대비해 거시건전성을 강화하는 등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